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2장 김구 통일운동의 기본 성격과 현실적 한계

이용수 137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Unification Movement and Thought in Kim Ku and its limits
발행기관
한국민족사상학회
저자명
남광규
간행물 정보
『민족사상』제8권 제3호, 35~7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해방을 전후한 시기부터 분단에 이르기까지의 시기 동안 전개되었던 김구의 통일운동의 기본적인 성격과 현실적 한계에 대해 말하고 있다. 김구는 해방 직전 해외독립운동의 정신적 구심체였던 임시정부를 좌우연합정부로 개편하면서 독립을 위한 준비기관으로 면모를 일신하려 했다. 이를 바탕으로 해방 직후 임정은 대외적으로는 미국과 소련에 대한 중도적 대외노선과 민족국가수립을 위한 민족통일전선의 구축을 통해 독립된 통일국가를 수립하려 했다. 그런 점에서 당시 조선에 대한 5년의 신탁통치를 결정한 모스크바합의를 김구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었고 이에 따라 강력한 반탁운동을 전개하였다. 김구가 반탁운동으로 국내 정국에서 본격적인 활동을 전개하면서 당시 국내정치의 구심체는 김구와 임정이었다. 그러나 반탁 일변도의 국가수립운동은 조선의 국가건설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밖에 없는 미국과 부딪혀 갈등과 대립을 초래했고 해방 초기 김구와 임정세력을 활용해 국내정치세력을 통합하려 했던 미국의 계획과 충돌하는 결과로 나타났고 결국 미국으로 하여금 김구를 국내 정국에서 배제하는 움직임으로 나타나게 하였다. 또한 반탁운동이 반공반소운동으로 확대, 비화됨으로써 소련과 이를 추종하는 좌파와도 대립하면서 국내적으로 정치세력이 좌우로 양극화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결국 미국과 소련이 미소공위를 통한 임시정부수립과 신탁통치계획을 포기하고 유엔을 통한 정부수립으로 전환하였으나 전 한반도에 걸친 자유총선실시라는 유엔의 결정에 반대하는 소련과 북한에 의해 통일국가수립은 요원해 졌다. 이에 김구는 김규식과 함께 남북협상을 전개하여 분단을 피하려 노력했으나 이미 미소관계와 남북관계가 냉전관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남북협상운동은 국제적으로나 국내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성공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행한 남북협상은 오히려 북한 공산주의자들에게 정치적으로 이용당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결국 남한정부수립을 위한 ‘5·10총선’에 김구와 임정세력이 불참함으로써 대한민국 정부수립에 있어 정통성 논란을 낳고 이후 김구와 임정은 한국정치 현실에서 사라져 갔다. 이러한 김구의 통일운동을 평가하면 김구의 통일운동은 지나치리만큼 이상적인 만큼 현실에 맞지 않는 한계점들을 노정했고 통일운동 과정에서 스스로 자신의 정치적 입지와 임정 정치세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김구의 통일운동에서 나타난 반외세 민족자주노선은 애초 김구와 임정이 표방했던 대외적으로는 외세협력, 대내적으로는 좌우협력을 통한 통일운동노선에서 벗어나는 것이었다. 특히, 현실적으로 이미 국내외 정치구조가 분단으로 귀결되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남북협상운동은 분단을 거부하고 통일을 추구하는 명분만 충족시켰지 실제 현실정치에서는 많은 분열적 요소와 대립을 낳게 하는 결과를 초래했고 이에 더해 대한민국 수립에 불참함으로써 김구 스스로 자신과 임정의 정치적 자산을 포기하는 실패로 나타났다. 이러한 김구의 통일운동을 현재의 시점에서 평가할 때, 향후 남북통일은 주변 외세의 현실적이고 긍정적인 역할을 인정하면서 남과 북이 평화적이고 합법적인 방법으로 통일을 모색해 나가는 것이 올바른 통일노선이 될 수 있음을 말해 주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해방 시기 중심으로 김구의 통일운동의 기본 성격과 그 한계점들을 냉정하게 분석, 평가하는 것은 통일을 준비하는 현재의 시대적 과제에 시사하고 있는 역사적 함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치적 이상주의와 현실주의가 분단시대를 살고 있는 남북한 정치현실에 어떻게 투영되어야 할지에 대한 지적 논쟁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김구의 통일운동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평가는 학문적으로나 정책적으로 충분히 논의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search on the characters of unification movement and thought in Kim Ku and its limit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1945-1948). Kim Ku prepared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imperial occupation and rule in the Chosun, making the Provincial Government members with national unification front which combined the right and left political forces into the Provincial Government. After the defeat of Japan, Kim Ku pursued the moderate political line for the unified national state. However, Kim Ku and the Provincial Government went only to anti-trusteeship movement and denied international coordination which confronted the USA and the USSR, as a result, failed. At the same time,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People's Republic were also confronted around anti-trusteeship and pro-trusteeship, with governmental position in early Liberation Period. In addition to, Kim Ku tried negoti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hich manipulated by the communist in North Korea. After all, the characters of unification movement and thought in Kim Ku is too ideal too succeed in reality of politics in the Liberation Period.

목차

Ⅰ. 서론
Ⅱ. 해방 직후 김구의 통일운동 전개과정
Ⅲ. 김구 통일노선의 기본 성격과 특징
Ⅳ. 김구 통일노선의 현실적 한계
Ⅴ. 김구 통일노선의 현재적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광규. (2014).제2장 김구 통일운동의 기본 성격과 현실적 한계. 민족사상, 8 (3), 35-70

MLA

남광규. "제2장 김구 통일운동의 기본 성격과 현실적 한계." 민족사상, 8.3(2014): 35-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