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삼국시기 김해지역의 목관묘·목곽묘 전개와 구야국

이용수 277

영문명
Guyaguk and the Development of the Wooden Coffin and Wooden Chamber Burials of the Gimhae Region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최병현(Choi, Byung-Hyun)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39호, 1~54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김해지역에서는 지석묘사회가 지속되는 가운데 서기 전 2세기 말·1세기 초 영남지방에서 원삼국 전기의 고식와질토기가 출현할 무렵부터 목관묘가 축조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김해지역에서목관묘 축조는 지석묘의 축조가 끝나는 서기 1세기 중엽부터 본격화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구야국이 실질적으로 성립하는 것도 이때라고 판단된다. 김해지역에서 목관묘의 축조는 이때부터 사실상 대성동유적을 중심으로 한 해반천유적군과 조만강지구의 양동리유적으로 국한되었다. 목관묘에는 구야국 전기 사회의 분화된 계층성이 반영되었으며, 청동거울 부장묘의 피장자들이 정치적 수장이었을 것이다. 청동거울 부장묘의 분포로 보아 구야국 전기의 국읍은 한 곳으로 고정되어 있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남지방에서 원삼국 후기의 신식와질토기가 성립하는 서기 2세기 중엽부터 김해지역에서는 목곽묘가 축조되기 시작하였다. 원삼국 후기의 목곽묘도 해반천유적군과 조만강지구의 양동리유적에서 축조되었을 뿐이지만, 구야국 전기보다 계층화가 한층 더 진전된 양상을 보여준다. 양동리유적에서는 다수의 철제 대형무기와 봉상철부가 부장된 원삼국 후기의 탁월한 목곽묘들이축조되어 정치적 성장을 보여준다, 그러나 해반천지구의 대성동유적에서는 이들을 능가하는 초대형의 목곽묘들이 축조된 것으로 보아, 구야국 후기의 정치적 수장을 배출한 국읍은 해반천지구의 취락으로 고정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국읍의 다른 읍락에 대한 통제가 아직 미약했기 때문에 양동리유적에서도 탁월한 목곽묘들이 축조될 수 있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Gimhae region, wooden coffin burials first began to be constructed around the late second to early first century BCE (when archaic style wajil pottery first came to be used in the Yeongnam region) in a social context in which dolmen burials were still being used. The wide-spread use of wooden coffin burials in the Gimhae region took place from the mid first century CE, when the tradition of using dolmen burials came to an end. It is believed that the establishment of Guyaguk also occurred around this time. The construction of wooden coffin burials in the Gimhae region was at first limited to the Haebancheon River region (centered around the Daeseong-dong burial ground) and the Jomangang River region (centered around the Yangdong-ri burial ground). This use of wooden coffin burials can be seen to represent the stratified nature of Early Guyaguk society at the time, with burials containing bronze mirrors as grave goods likely having been the final resting place of political leaders. The distribution of bronze mirror burials indicates that the political center was not fixed during the Early Guyaguk phase. The construction of wooden chamber burials in the Gimhae region began at around the mid-second century CE, which is when new style wajil pottery made an appearance during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Yeongnam region. Wooden chamber burials in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ere only constructed at burial grounds in the Haebancheon River region and at the Yangdong-ri burial ground in the Jomangang River region. The nature of the burials indicates that, compared to the early phase, the stratification of Guyaguk society had intensified. The presence of impressive wooden chamber burials at the Yangdong-ri burial ground, which date to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and have yielded large iron weapons and rod-shaped iron axes, illustrate the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power base. However, the fact that even greater wooden chamber burials were constructed at the Daeseong-dong burial ground indicates that the guk-eup (political center) which produced the political leader of Late Guyaguk society was a settlement based in the Haebangcheon River region. Nevertheless, it appears that the guk-eup’s control over the rest of the settlements was still relatively weak, which resulted in the construction of impressive wooden chamber burials at the Yangdong-ri burial ground as well.

목차

Ⅰ. 머리말
Ⅱ. 원삼국 전기 김해지역의 목관묘 전개
Ⅲ. 원삼국 후기 김해지역의 목관묘 전개
Ⅳ. 고분문화의 전개과정으로 본 구야국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병현(Choi, Byung-Hyun). (2022).원삼국시기 김해지역의 목관묘·목곽묘 전개와 구야국. 중앙고고연구, (), 1-54

MLA

최병현(Choi, Byung-Hyun). "원삼국시기 김해지역의 목관묘·목곽묘 전개와 구야국." 중앙고고연구, (2022): 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