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극예술연구회 공연작 <인형의 가>의 무대 형상화와 무대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39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ge Formation and Stage Design of
, a performance by Geugyesuryeonguhoe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김남석(Kim, Nam-Seok)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제200집, 297~32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극예술연구회는 1934년 4월 헨릭 입센 작 <인형의 가>를 제6회 정기 공연으로 경성 공회당 무대에 올렸다. 이 작품은 홍해성이 연출을 맡았고, 근대극의 교과서로 불린 서구의 정전을 공연한 사례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극예술연구회 공연 작품 <인형의 가>는 지금까지 입센의 영향력과 공연사적 흐름을 고찰하는 연구에서 주로 고찰되고 있을 따름이다. 극예술연구회가 <인형의 가>를 선택한 이유나 입센주의의 흐름 속에서 <인형의 가>가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논의가 중심을 이루어왔다고 보아야 한다. 그 과정에서 정작 <인형의 가>의 무대 형상화의 실체나 무대디자인 등에 대한 접근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연구는 <인형의 가>의 공연 상황과 무대 정황을 세부적으로 살피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지금까지 자료 부족으로 인해 극예술연구회 제작 <인형의 가>가 논의되지 못하고 입센의 번역 희곡 <인형의 가>에 대해서 주로 논의되어야 했다. 그러니 이 연구는 이러한 논의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1934년 극예술연구회의 최대 도전작 중 하나였던 <인형의 가>의 실체와 특징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Geugyesuryeonguhoe performed by Henrik Ibsen on the stage of Gyeongseonggonghoedang(경성공회당) in April 1934 as the 6th regular performance. This performance was directed by Hong Haeseong and drew attention as an example of performing a Western classic, which has been called the textbook of modern drama. However, , a performance work of Geugyesuryeonguhoe, has been mainly considered in studies that examine Ibsen's influence and the flow of performance history. It should be seen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reason Geugyesuryeonguhoe chose or the importance of in the flow of Ibsenism has been at the center. In the process, it was not possible to access the reality of the stage shape of or the stag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formance and stage conditions of in detail. Until now due to lack of data, produced by Geugyesuryeonguhoe could not be discussed, and only Ibsen's translated play had to be discussed. Therefore,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an attempt to escape from these discussions. Through these attempts, it is expected that the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 which was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of Geugyesuryeonguhoe in 1934, will be revealed.
목차
1. 문제 제기
2. <인형의 가>의 공연 정황과 공연 디자인의 접근 가능성
3. <인형의 가>의 무대디자인과 그 특색
4. 무대 사진을 통해 본 <인형의 가>의 편린
5. 결론을 겸하여 : <인형의 가>의 무대 공간과 그 의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집 취지문] 동방학과 동아시아론, 그 발자취와 현주소
- [특집 대담 취지문] 『동방학지』 200집 기념 대담
- 동방학연구소의 학술 활동과 정인보의 학풍 계승
-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소장 위당문고 자료의 성격과 가치(2)
- 극예술연구회 공연작 <인형의 가>의 무대 형상화와 무대디자인에 관한 연구
- ‘식민지 국학’의 학제(制·際)적 위치
- 『동방학지』 200집 기념 대담 <동방학, 국학, 동아시아론: 동방학을 다시 기록하다> - 백영서, 도현철, 한기형
- 18세기 후반 조선의 수해 이재민 보고 방식의 체계화와 恤典 시행
- ‘항미원조’(抗美援朝)와 중국조선족 문학의 형성
- 중화와 민족 사이
- 중일전쟁시기 상하이 흥아건국운동의 주장과 문학(1939~1941)
- 김성숙의 민족운동 전략과 정치이념의 특징
- 동아시아론과 마이너리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