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01년 제주 ‘신축교안’의 선교사적 고찰

이용수 15

영문명
The Historical Missionary Investigation of The 'Sin․chuk․kyo․an' in Jeju at 1901.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저자명
문창우
간행물 정보
『종교문화학보』제2권, 219~263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1.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축교안은 한국 근대 역사의 역사적인 연장선상에서 벌어진 큰 사건이다. 따라서 이는 제주에 국한된 지역적 문제가 아니었고 전국적인 문제였다. 또한 이는 종교와의 갈등에서 생긴 제주도민의 삶과 죽음의 문제와 연결된 것이다. 교회가 정치, 사회, 경제, 문화적인 차원에서 이러한 문제에휩싸이게 된 것은 사실 다른 여러나라의 선교지에서 이미 일어났던 일이었고, 이는 당시 교회의 자기 실재에 대한 교회론적인 인식의 부족에서 생겨났음을 반성해야 한다 . 종교가 선교를 빌미로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며 종교적 집단이기주의 및배타주의를 형성하고 대화를 거부하는 데서, 선교의 근본의미를 망각하는데서, 무조건 사람들을 끌어오는 것만을 선교라고 이해하는 데서, 종교의 폐단이 나타난다. 선교는 종교를 이런 폐단에서 구할 과제를 안고 있다. 신축교안 당시 폭력이 발생했다는 것은 제주도 문화와 종교(그리스도교)의 만남이 되지 못했다는 표시이다. 사실은 그리스도교의 지난 역사를 돌이켜볼 때 이런 종교의 폭력 현상이 늘 발견된다. 그리스도교가 하느님과 인간 ,그리고 인간끼리의 일치와 화해를 부르짖으며 내걸었던 복음화가 실제로는그곳 문화를 이해하기보다는 서구문화를 모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래서서구 그리스도교의 일방적인 문화우월주의를 주장하며 다른 민족문화를 경시하고 극복하는 것으로 이해된 적이 많았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신학의 토착화라는 이름으로 그동안 교회가 타종교와 문화적 가치들에 대해 보여주었던 배타적 독선주의를 지양하고, 이들안에서 작용하는 하느님의 구원역사를 인정하면서 적극적인 대화의 자세를취하는 현격한 변화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변화된 자세의 맥락 속에서 신앙의 토착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하느님의 말씀이 구체적인 역사와 지리를 배경으로 해서 인간의 형상을취하신 ‘육화’를 그 신학적 원리로 하는 토착화는 일회적으로 계시된 복음의 진리를 여러 종교 문화권의 체험 체계 내지 사상 체계로 표현하여서 복음의 본연의 의미가 보다 적절하게 선포되고 생활화될 수 있게 하기 위한작업이다. 다시 말해서 ‘토착화’는 복음의 메시지와 지역문화를 중재하는것을 의미한다. 그러기에 토착화 신학은 무엇보다도 삶의 자리를 규정하는문화 속으로 육화(肉化)하시는 복음에 대한 성찰에서 시작한다.신축교안 당시도 교회가 오늘날의 공의회 정신이 아니고 세상이 교회로부터 배운다는 논리를 무조건 가르쳐주려 한 요구가 있어 왔다. 참으로 교회가 제주도(문화)로부터 배운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한다면 올바른 교회의 자세를 찾게 된다. 배운 것이 있다면 교회가 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단지교회가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려고만 한다면 교회는 변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교회는 세상 사람들을 교회라는 좁은 틀로 속박시키고그들의 삶의 터전을 빼앗는 것과는 거리가 멀어야 한다. 복음화(선교)는 타인의 인정과 대화를 그 근본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신축교안 당시 교회는 그러한 변하는 모습이 없었다. 오늘날 우리가 자신들의 입장을 호교론적인 차원에서 제시한다면 여전히똑같은 상황이 전개될 뿐이다. 따라서 여기서 벗어남이 우리의 과제일 것이다. 선교 역사에 있어서 그리스도교의 우월성은 남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이다. 신축교안 당시 겉으로는 경제적인 착취(조세부담 등)를 빌미로 하나 그 이면에는 종교가 등장한다. 여기에서 배타성과 우월성을 지닌 태도들이니 분위기간에(교회-제주문화의 만남) 감정만 남는다. 교회가 이러한우월적인 주장의 태도를 지닌다면 배타적인 모습으로써 나타난다. 즉 신당을 없애거나 자신들과 다른 것을 미신 취급하는 모습은 자신만의 중요성을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신축교안 때 교회와 제주도(문화)와의 만남이 있게 되는데, 여기서발생한 많은 희생자들의 죽음은 성인(聖人)의 모습을 생각하게 한다. 우리는 성인에 대해서 생각할 때 단지 교회를 위해 희생하신 분으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국 가적으로도 성인이 아니라면 이는 뭔가? 성인이라면 국가를 위해서도 성인이어야 한다. 즉 교회의 성인은 이 땅을 위해서도 뭔가 기여함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상이 교회를 위해서도 죽고 교회도 세상을 위해서 뭔가 기여함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상이 교회를 위해서도 죽고 교회도 세상을 위해서 죽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참으로 교회도 세상을 위해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in․chuk․kyo․an’(diplomatic issue at 1901) is the big matter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on the historical flow. so that It is not a matter of Jeju province but the whole country. And this conflict of religion is the problem of 'To be or not to be' for Jeju island people. Actually The reason that the church fall in the this kind of matter on political․social․economical․cultural, was the ordinary ones in others missionary places also. We should reflect the fact that the problem is happened cause in the insufficient of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about the church itself. The corrupt practice in religion is growed by the religion seeking a profit cause in missionary, making the religious egoism, denying conversation, forgetting the basic meaning of missionary, thinking the missionary that is just gathering persons. The missionary has the task that saving the church in this corrupt practice. The fact that the appearance of violence in 'Sin․chuk․kyo․an' is the evidence of disconnecting of between the religion(Catholic) and the culture of Jeju island. In fact, this kind of violent state was always discovered in christian church's history. christian church's evangelism always insist the harmony and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 God and human, one and the others. But actually the church not understand the regional culture but transmit the western culture to the other regions, and so sometimes the christian church was understanded the one-side cultural superiority that neglecting the racial culture by region people. The vatican concilium Ⅱ tried to remove the exclusive selfrighteousness in the name of the aboriginality on christian faith that about the regional cultures and religions. And more over the christian church recognize the working of the God's salvation in the regional cultures and religion, so the church remarkable changed and take a place to conversation with others. In this kind of alteration, the necessary of the aboriginality on faith was needed. Aboriginality base on the theological principle(incarnation) that the word of God take the position figures of human, in the midst of concrete history and geography for a background. Aboriginality on faith is the work of to express by variety expression that based on religion-cultural experience structures and thought structures so that the real meaning of Gospel is set up by proper announce and life style. In short, ‘Aboriginality’ is the arbitration between the message of Gospel and regional cultures. Therefore the theology of aboriginality is started by that selfexamination of the incarnation of Gospel to the ‘sitz im leben’ of regional cultures. At that time of ‘Sin․chuk․kyo․an’, the church had been minded the world must learn from the church, it is not the idea of the vatican concilium Ⅱ. If the church will know that what was the teaching from the culture of Jeju island in historical experience, the church will be find a right way in missionary but just will try to carry out the demand of church, the church's manner will not change. The church should be departed from to restrain that the people into narrow matrix and to carry off their life places. Aboriginality (missionary) is base on the acknowledgement and conversation with others. But at a moment of ‘Sin․chuk․kyo․an’, the church had not been this kind of manner. Now days if we present our standpoints on just the church's viewpoint, same situation will be shape up. so to take off this state is the task of the church. In the history of missionary, the christian church's superiority mean the attitude that disregard to others. At that time of 'Sin․chuk․kyo․an', the economical squeezing(taxation) was the aim of face, but the religion was the aim of mind. In this conditions, the sens of exclusiveness and superiority break out the conflict in emo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culture of Jeju. If the church continually insist this kind of superio

목차

Ⅰ. 서론 - 문제의 제기
Ⅱ. 본론
Ⅲ. 결론 - 신학적 전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창우. (2006).1901년 제주 ‘신축교안’의 선교사적 고찰. 종교문화학보, (), 219-263

MLA

문창우. "1901년 제주 ‘신축교안’의 선교사적 고찰." 종교문화학보, (2006): 219-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