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유놀이에서의 유아 놀이 주도성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Play Leadership in Free Play: Focusing on the Q-methodology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재영(Jae-Young Lee) 강향숙(Hyang-Sook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7 No.1,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Q methodology was used and analyzed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for child play leadership in children's free play. Method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fter forming a population of 130 early childhood teachers, 48 Q samples were finally extracted. P samples were selected for 41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Q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Q factor analysis using the R program derived a total of three types. Results: Teachers categorized as Type 1 had a positive view on play leadership in free play, but still thought that teachers should be able to inspire confidence through emotional support or encouragement. Teachers of Type 2 did not have a negative view of the free play of children, but they were skeptical about the children taking the lead in free play. Type 3 teachers recognized that free play can be facilitated by the child's inner leadership rather than the teacher's intervention in play. Conclusions: This finding would provide basic data to teachers to activate children's play leadership in free pla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성인발달장애인의 대학기반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 치과위생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