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가학파의 무명관

이용수 36

영문명
A Study on the Ignorance (avidyā) in the Yoga Philosophy- In relation to the Buddhism
발행기관
한국요가학회
저자명
이수진(Lee, Su-jin)
간행물 정보
『요가학연구』제28호, 29~5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요가학파의 무명(無明, avidyā, avijjā)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연구에서는 이를 윤회의 원인으로서 실물ㆍ실체(vastu-satattva)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요가경』과 그 대표 주석서인 비야사(Vyāsa) 『요가주』를 중심으로, 불교와의 관련 하에서 무명관을 비교ㆍ검토하였다. 그 결과 요가학파의 무명이 불교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의 혼합된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경량부는 무명을 전도된(viparyaya)ㆍ그릇된 인식(mithyā- jñāna), 즉 착오(錯誤)로 보는데, 이는 『요가경』2.5.의 경문과 상통한다. 이 둘은 또한 전도된 인식을 떠난 혹은 근거하지 않는 번뇌는 있을 수 없다고 하여, 무명을 번뇌의 원인으로 파악한다. 그러나 경량부가 그 본질을 ‘명의 부재’인 ‘비실재ㆍ비존재’로 보았던 것에 반해, 요가학파는 개별적 실체로 본다. 이러한 견해는 비야사 『요가주』2.5.의 주석문에 나타나는데, 이는 유부가 무명을 ‘명이 아닌 것[非明]’도, ‘명이 결여된 것[無明]’도 아닌, 명과 대치되는 실체[dravya, 別體]로서 실유(實有)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하다. 『요가경』상에서 무명은 경량부적 견해가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그 본질 역시 비실재ㆍ비존재로 해석될 여지가 다분하다. 그러나 요가학파에서 무명은 푸루샤(Puruṣa)와 프라크리티(Prakṛti)의 결합의 원인, 즉 세계 생성의 원인이며, 또한 번뇌의 근원이다. 그러한 무명이 비존재라고 한다면, 이는 상캬학파의 이원적 실재론을 수용하여 인중유과(因中有果)의 전변설(轉變說)을 주장하는 그들의 이론체계에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비야사는 무명이 경량부적으로 해석될 여지를 제거하고, 자파의 교학적 정합성을 이루고자 별도의 주석문을 통해 그 본질을 실체로 규정하였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ignorance of the Yoga Philosophy. The word ignorance (avidyā, avijjā) is derived from a root meaning “to know” and means ignorance. In Indian philosophy, ignorance does not simply mean intellectual absence, but is understood as the source of the phenomenal world and the cause of human reincarnation. In previous studies, the ignorance of the Yoga philosophy was defined as a really existing object(vastu-satattva). Through thi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ignorance of the Yoga philosophy took the mixed form of Vaibhāsika(說一切有部) and Sautrāntika(經量部). First, Sautrāntika viewed ignorance as an inverted (viparyaya), false perception (mithyā-jñāna), that is, an error [錯誤],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text of the 『Yogasūtra』.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gnorance and hindrances, since there is no such thing as hindrances beyond ignorance, which is a false perception, the Yoga philosophy called ignorance as the field (kṣetra) of all hindrances. Sautrāntika also grasps inverted cognition as the cause of the hindrances. However, √vid, the root of ignorance (avidyā), can be etymologically interpreted in two ways: ‘unknown’ and ‘non-existence’. Here, Sautrāntika understands ignorance as the ‘absence of right knowledge’ as non-existence. On the other hand, Vaibhāsika criticizes this view of them and regards ignorance as an ‘unknown thing’ as an individual entity[別體]. The Yoga philosophy also understands ignorance as a really existing object(vastu-satattva), and an important argument for this is the commentary on Vyāsa’s 『Yogasūtra-Bhāṣya』 2.5. He clarifies that the indefinite compound word ignorance (avidyā) is not a ‘right knowledge’ or ‘absence of right knowledge’, but a positive existent(實有) of a different kind, contrary to both of them. This is the same as the argumentation method in which the married couple criticizes the Sautrāntika. In the 『Yogasūtra』, Sautrāntika is dominantly reveal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lot of room for interpretation of the essence of ignorance as non-existence. However, if ignorance, the source of world creation and reincarnation, is called illusion, it is fundamentally contrary to their metaphysical system. This is because the world is based on the real, not the unreal, due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fundamental substance(Prakṛti).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doctrinal coherence, I think that Vyāsa must have defined the essence of ignorance as a substance through a separate commentary. As for the method of argument to support his opinion, it would have been possible to more clearly deny the ignorance of unreality and establish reality by adopting the argument against the Sautrāntika by Vaibhāsika. Thereby, through his note, Ignorance was able to secure a coherence that was fully in line with their theoretical system.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요가학파의 무명
Ⅲ. 불교와 관련한 요가학파의 무명
Ⅳ.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진(Lee, Su-jin). (2022).요가학파의 무명관. 요가학연구, (), 29-54

MLA

이수진(Lee, Su-jin). "요가학파의 무명관." 요가학연구, (2022): 29-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