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립대안학교 비교연구

이용수 669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Alternative Schools in South Korea, USA, and Japan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김지현(Kim, Jihyun) 김지혜(Kim, Ji Hye) 안은경(Ahn, Eunkyung)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32권 제4호, 43~7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일본의 공립 대안학교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전체 공교육 체제에서 공립 대안학교가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고 한국 공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공립 대안학교의 등장 배경, 법적 근거, 운영 현황, 그리고 실제 학교 운영 사례를 분석틀로 하여 세 국가의 공립 대안학교에 대한 문헌을 분석하였다. 특히 미국의 경우 위기학생을 위한 공립 대안학교를, 일본의 경우 부등교 특례교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공립 대안학교의 등장에는 공통적으로 학업중단 및 위기학생에 대한 예방적 목적이 있었으며, 각국 정부는 유연한 교육과정 및 학사운영이 가능한 공립 대안학교의 법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전통적인 학교교육에 대한 대안적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차이점으로는, 한국과 일본의 공립 대안학교가 학업 및 입시 위주의 교육과정에서 탈피한 대안적 교육과정을 강조한 반면, 미국의 공립 대안학교는 기초학력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을 강조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립 대안학교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의 교육기회를 보장하는 안전망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점과, 개별 학교를 넘어 학교 주변의 지역사회, 전체 공교육 시스템, 더 나아가 평생교육 생태계와 유기적인 연계를 이룰 때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public alternative schools in the overall public education system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Korea, by comparing public alternative schools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Method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literature on public alternative schools in those three countries, focusing on their background, legal basis, operation status, and school practices. The analysis included public alternative schools in South Korea, public alternative schools for students at risk of education failure in the United States, and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school refusal in Japa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ublic alternative schools in those three countries had the purpose of providing effective intervention for dropout students or students at risk, with a legal basis allowing relatively flexible curriculum management. Also, public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and Japan emphasized an alternative curriculum not centered on academic performance and college entrance preparations, while thos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emphasized the curriculum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Conclusion: The authors drew the following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above. First, public alternative schools play an important role as a safety net that guarantees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exposed to various risk factors. Also, alternative schools can more effectively function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around the schools and the entire public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ecosystem beyond individual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공립 대안학교 사례 비교
Ⅳ. 비교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현(Kim, Jihyun),김지혜(Kim, Ji Hye),안은경(Ahn, Eunkyung). (2022).공립대안학교 비교연구. 비교교육연구, 32 (4), 43-73

MLA

김지현(Kim, Jihyun),김지혜(Kim, Ji Hye),안은경(Ahn, Eunkyung). "공립대안학교 비교연구." 비교교육연구, 32.4(2022): 43-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