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울릉도 고분의 출현과 그 배경 검토

이용수 207

영문명
AStudy on the Appearance and Background of Ancient Tombs in Ulleung Island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김규운(Kim, Gyu un) 김건우(Kim, Gun woo)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94호, 67~9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울릉도에는 512년 이사부의 정벌 기사를 통해 고대에 우산국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산국을 고고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는 없다. 울릉도에서 가장 이른시기에 확인되는 고고자료는 고분이다. 주로 횡혈식석실을 매장주체부로 하는 고분들의 현황을 정리하고, 왜 이러한 고분이 출현하게 되었는지, 신라가 우산국을 정벌하게 된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접근해 보았다. 우선 울릉도에 축조되는 고분은 총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고분이 처음출현하는 단계를 울릉도에서 확인되는 신라토기를 근거로 6세기 중엽을 상한으로 상정하였고, 2단계는 7세기 후엽부터, 3단계는 9~10세기로 상정하였다. 울릉도 고분이 어느 지역에서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기왕에 경북 북부 내륙지역, 강원 혹은 동해지역으로 주로 언급되었는데, 세장방형의 평면형태와 지면보다 석실 바닥을 높게 마련한 점, 석실의 석벽을 축조하면서 봉분을 쌓은 분묘일체형이라는 점에서 울진 덕천리고분군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울릉도에 신라의 영향으로 고분이 축조되는 배경으로는 512년에 정복을 하나, 동시에 사람들을 사민하지는 않았으나 일본열도 제작 삼루환두대도와 고구려 사신이 일본열도로 건너 가는 기록을 보듯이 6세기 중후반에 고구려와 왜가 동해안 루트를 이용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해, 즉 동해안 제해권을 적극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 울릉도로 사람들을 사민한 결과로 인해 울릉도에 고분이 출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In Ulleungdo Isl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was an umbrella soup in ancient times through the article on the conquest of Isabu in 512. However, there is no archaeological evidence yet to prove Usanguk. Archaeological data identified in the earliest period of Ulleungdo Island are tombs. We organized the current status of tombs mainly with Hoenghyeol-style stone chamber as the main body of burial, and approached why such tombs emerged, and what was the background of Silla's conquest of Usanguk. First of all, tombs built on Ulleungdo Island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was assumed to be the upper limit based on Silla earthenware, and the second stage was assumed to be from the late 7th century and the 3rd stage to the 9th to 10th centuries. In terms of which area the Ulleung-do tomb was affected, it was mainly mentioned as the inland area, Gangwon, or Donghae area in northern Gyeongsangbuk-do, and suggested a relationship with Uljin Deokcheon-ri tomb in that it had a three-sided floor higher than the ground. Although the tomb was built in 512 due to Silla's influence, it is believed that the tomb was built in the mid- to late 6th century to check Goguryeo and Japan's use of the East Coast route, as shown in the records of Japanese archipelago Samru Hwandudae and Goguryeo envoys.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 및 유적 현황
Ⅲ. 고분 축조 시기 및 배경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규운(Kim, Gyu un),김건우(Kim, Gun woo). (2022).울릉도 고분의 출현과 그 배경 검토. 영남고고학, (), 67-95

MLA

김규운(Kim, Gyu un),김건우(Kim, Gun woo). "울릉도 고분의 출현과 그 배경 검토." 영남고고학, (2022): 67-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