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일본 여성 청년 세대의 젠더 의식과 결혼 이행과의 관계

이용수 197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Consciousness and Transition to Marriage of Young Women in Korea and Japan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이수진(Lee Sujin) 김주현(Kim Ju Hyun)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114호, 55~8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연구의 목적은 젠더 의식(결혼 가치관, 모성 이데올로기, 남성 생계부양자 의식)이 여성 청년세대의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여성 청년들의 젠더 의식과 결혼이행과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의 특성을 밝혀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한국 데이터는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1-8차(2007-2020)이다. 일본 데이터는 동경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소 청년패널조사JLPS-Y, 1-10차(2007-2016) 및 장년패널조사 JLPS-M, 1-10차(2007-2016)이다. 분석 대상자는 18세 이상 50세 미만으로 한정하였으며, 한국은 7,893명, 일본은 3,429명이 선정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결혼 상태 변화를 종속변수로, 젠더 의식을 독립변수로 하는 이산시간 사건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결혼이행 확률을 높이는 요인은 남성은 직장을 가지고 여성은 가정을 돌보는 것이 좋다는 성별 역할분업 의식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실과 결혼 후의 생활에 대한 이상 사이에서 결혼으로 이행하기이전에 가치관의 타협을 할 가능성을 고려해 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한국은 결혼을필수라고 생각할수록, 결혼하면 자녀를 빨리 갖는 것이 좋다고 생각할수록 결혼 이행 확률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가치관의 효과와 모성이데올로기 효과를 동시에 고려하면 한국에서는 결혼과 출산이 생애 과정에서 순차적이고 당위적으로 이루어지는 규범이 강하게 남아 있음을 엿볼 수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gender consciousness (marriage values, Motherhood ideology, and male breadwinner ideology) on the marriage transition of the younger female generation. In addition, i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through comparison with the gender consciousness and marriage performance of young Japanese women. The Korean data is the 1-8th KLoWF (2007-2020), Japan’s data is the Youth Panel Survey JLPS-Y, the 1-10th (2007-2016) of Tokyo National University’s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and the 1-10th (2007-2016) of the Elderly Panel Survey JLPS-M. The analysis subjects were those aged 18 to 50, selected 7,893 in Korea and 3,429 in Japa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that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marriage transition in both Korea and Japan was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that men should have a job and women should take care of their families. This is the result of the nee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ompromising values before transitioning to marriage between reality and ideals about marriage. Second, the more think marriage is essential and the more you think it’s better to have children when you get married, the probability of marriage transition is high in Korea. Considering the effects of marriage values and motherhood ideology at the same time, it is a result showing that marriage and childbirth remain sequentially and justifiable norms in the life course. Third, the more important the mother’s role in preschool children is recognized,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marriage transition in Japan, which is contrary to the results of Kore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진(Lee Sujin),김주현(Kim Ju Hyun). (2022).한국과 일본 여성 청년 세대의 젠더 의식과 결혼 이행과의 관계. 여성연구, (), 55-88

MLA

이수진(Lee Sujin),김주현(Kim Ju Hyun). "한국과 일본 여성 청년 세대의 젠더 의식과 결혼 이행과의 관계." 여성연구, (2022): 55-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