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웰니스관광 경제적 파급효과의 탐색적 연구

이용수 19

영문명
A Exploratory Research of Economic Effects on Wellness Tourism Industry in Korea: Exogenous Specified Input-Output Model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신미영(Shin, Mi Young) 나주몽(Na, Ju Mong)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7권 제1호, 349~37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한국은 출산율의 저하와 고령인구의 증대로 만성질환, 난치성 질환, 비만 등 질병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문적인 질병 관리 서비스, 웰빙과 힐링 욕구의 증대, 삶의 질 향상, 건강 증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웰니스관광을 세부산업으로 재분류하고 외생화 산업연관모형을 활용하여 한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웰니스관광산업을 주요 구성 산업인 의료서비스, 개인서비스, 관광서비스 부문으로 세분화하여 경제적 파급효과와 비교함으로써 웰니스관광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한국 웰니스관광 육성정책의 산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웰니스관광의 세부산업인 의료산업(0.5508)과 개인서비스산업(0.9268), 관광산업(0.7738) 모두 높지 않은 수치를 보였다. 그중 개인서비스산업이 생산유발과 부가가치유발이 의료와 관광산업에 비해 높게 나와 웰니스관광의 육성방안 수립 시 개인서비스산업과의 연계방법을 모색해야 하는 것도 웰니스관광의 생산유발을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한국 웰니스관광은 후방연계효과는 낮고 전방연쇄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난 중간 수요적 원시산업형으로 나타났다. 특히 웰니스관광 산업은 도소매서비스, 교통관련 서비스, 부동산 서비스 등 중간 수요적 산업과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셋째, 한국 의료산업과 개인서비스의 산업유발과 부가가치유발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의약품과 의료기기, 개인서비스 컨텐츠의 국산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 sub-industries of wellness tourism on the national econom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s, personal services and tourism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Wells Tourism on the national economic impact by comparing the economic effects between industries. In this study, wellness tourism is defined as a fusion of medical service and individual service, tourism service through similar concept survey, and the detailed composition industry of each service is defined.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Korean Input-Output Table, which is based on the demand driven model and the industry linkage effect. As a result, the production inducing effect was 0.5508 won for medical industry, 0.9268 won for personal service, 0.7738 won for tourism industry, and 0.6861 won for wellness tourism. The add-value inducing effect was 0.2171 won for medical industry, 0.3137 won for personal service, 0.2512 won for tourism industry, and 0.2224 won for wellness tourism. The medical and personal service industries are analyzed as the raw industrial of final demand, and the tourism and wellness tourism industries as the raw indistrial of intermediate demand. The private service industry is expected to generate more production and value-added inducing effect than medical and tourism industries and to find a way to link up with the personal service industry when setting up the development of wellness tourism. The economic ripple effects of wellness tourism will increase when the tourism industry is linked with the medical and personal service industry contents that can induce domestic production and attract consumers. In order to increase the localization rate of the medical industry and the personal service industry, R&D and technology development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미영(Shin, Mi Young),나주몽(Na, Ju Mong) . (2020).한국 웰니스관광 경제적 파급효과의 탐색적 연구. 아태연구, 27 (1), 349-378

MLA

신미영(Shin, Mi Young),나주몽(Na, Ju Mong) . "한국 웰니스관광 경제적 파급효과의 탐색적 연구." 아태연구, 27.1(2020): 349-3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