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의 집단정체성과 한반도 미래세대 사회통합정체성

이용수 5

영문명
Collective Identity of North Korea and Social Integration Identity of Future Generations in Korean Peninsular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이현주(Lee, HyunJoo)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3권 제2호, 277~31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반도는 통일 이후 미래세대의 사회통합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남한과 북한 사회는 분단 이후 형성된 편견으로 서로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가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북한의 집단정체성에 대한 객관적인 조사와 분석을 바탕으로 한반도 미래의 가치통합에 대한 연구와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북한의 집단정체성을 푸코가 집단정체성 형성 요인으로 제시한 ‘관련지식 형성’, ‘권력체계’, ‘타자와 자신을 구분 짓는 관계방식’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북한의 집단정체성을 김일성 유일사상체계 집단정체성이라 정의 하였다. 김일성 유일사상체계 집단정체성의 특성은 자발적 성격의 ‘체제(충성성, 신뢰성)’와 규범적 성격의 ‘체제(우월성, 우위성)’로 나타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 284명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 김일성 유일사상체계 집단정체성은 북한 주민들에게 내면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제에 대한 신뢰성을 바탕으로 하는 충성성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통일 이후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남북한의 장점을 최대한 수용하고 포용하는 사회통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한의 장점인 자유성, 민주성과 북한의 장점인 신뢰성, 충성성을 융합한 한반도 사회통합정체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Korean peninsular is in the time to prepare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its future generations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erritory. The fact is South and North Korean societies lack in their objective understanding of each other, enclosed with prejudices formed since the division. For the purpose, various studies and discussion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values in the future of the peninsular should be preceded based on unbiase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s collective identity. This study considers the collective identity of North Korea as Kimilsung monolithic ideology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voluntary system(loyalty, reliability) and compulsory system(supremacy, predominance) and explains it has resulted from ‘related knowledge formation’, ‘system of power’, ‘relationship between ego and others’ which Michel Foucault suggests as three formation factors of collective identity. The result of our survey of 284 North Korean refugees shows that the collective identity of Kimilsung monolithic ideological system is internalized in North Korean inhabitants and forms ‘loyalty’ supported by ‘reliability’. The Korean society in the unfied peninsular should accommodate the strengths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study suggests a desirable identity model for social integration in the unified territory which can combine freedom and democracy of South and loyalty and reliability of North.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한반도 미래세대 사회통합을 위한 기본 전제
Ⅲ. 북한 집단정체성에 대한 조사와 분석
Ⅳ. 한반도 사회통합정체성의 제시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주(Lee, HyunJoo) . (2016).북한의 집단정체성과 한반도 미래세대 사회통합정체성. 아태연구, 23 (2), 277-310

MLA

이현주(Lee, HyunJoo) . "북한의 집단정체성과 한반도 미래세대 사회통합정체성." 아태연구, 23.2(2016): 277-3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