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의 총력전체제와 경제참모본부

이용수 11

영문명
Total War System and General Economic Staff of Japan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박성진(Park Sung-jin)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1권 제4호, 47~7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아시아의 경이적인 경제성장을 설명하는 한 요인으로 본 연구에서 주목한 경제참모본부는 본질적으로 전쟁의 산물이었다. 1차 대전이라는 미증유의 총력전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의 정치권과 군이 내놓은 타협점이 바로 경제참모본부였다. 다만 1918년 군수국을 통해 처음 등장했던 경제참모본부는 군부와 정치권의 상이한 인식으로 인해 제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그러나 1930년을 전후로 일어난 세계대공황과 소련의 경제적 성공 그리고 만주국의 수립은 새로운 경제참모본부 구상에 힘을 실어준 결정적 사건들이었고, 특히 1937년 발발한 중일전쟁으로 인해 총력전체제의 핵심 기구로서 ‘기획원’이라는 경제참모본부의 이념적 완성형이 등장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만주국에서 이미 등장한 기획처라는 모델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중일전쟁 이후의 총력전은 오히려 기획원의 활동에 한계를 부여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벌어졌다. 여기에는 기본적으로 기획이라는 업무 자체가 안정적인 국내외 정세를 전제조건으로 했기 때문이었다. 결과적으로 기획원은 총력전의 핵심 기관이라기보다는 총동원의 중심기관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한편 총력전에 대응하기 위해 국력의 충실을 위한 각종 조사, 경제계획의 입안 및 부처 간 조정이라는 경제참모본부의 본연의 임무가 제대로 실현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전시 ‘전쟁국가’ 일본에서가 아닌 패전 후 ‘경제국가’ 일본에서였다. 그러한 점에서 총력전체제는 단순히 전시체제에서뿐만 아니라 현대 일본에서도 그 본질적 성격이 그대로 유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d on General Economic Staff as one of elements explaining the remarkable economic growth in East Asia. General Economic Staff was intrinsically the outcome of the war. For coping with the unprecedented total war, the World War I, it was General Economic Staff that the politicians and the military authorities suggested as the compromise. The idea on General Economic Staff was proposed by the Munitions Bureau in 1918. However, it couldn't be realized because of the different views between the politicians and military authorities. The great depression, economic success of Soviet Union and establishment of Manchukuo around 1930 were the critical events accelerating the emergence of General Economic Staff. In particular, The Sino-Japanese War breaking out in 1937 brought the ideologically completed concept of General Economic Staff called “Planning Board” as the key organization in the total war system. It could be realized because of the model “Planning Bureau” already configured in Manchukuo. Meanwhile, the total war after the Sino-Japanese war caused the ironical situation restricting the activity of Planning Board. It's because the business ‘planning’ was fundamentally based on the stable domestic and global situations as the prerequisite. Consequently, the Planning Board acted as the pivotal organization for total mobilization rather than the leading organization for total war. However, it was ironically in Japan “Economic Country” after defeat not in Japan “Warfare Country” during the war when the intrinsic missions of General Economic Staff, that is, a variety of surveys for strengthening the country to cope with total war, drafting economic plans and coordination among ministers, were properly implemented. In this a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total war system maintained its intrinsic characteristics both during war footing and in modern Japan.

목차

Ⅰ. 서론: 일본의 총력전 구상과 경제참모본부의 등장
Ⅱ. 경제참모본부의 이념형: 만주국의 경제참모본부
Ⅲ. 경제참모본부의 변형과 굴절: 일본 본토의 경제참모본부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진(Park Sung-jin) . (2014).일본의 총력전체제와 경제참모본부. 아태연구, 21 (4), 47-78

MLA

박성진(Park Sung-jin) . "일본의 총력전체제와 경제참모본부." 아태연구, 21.4(2014): 47-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