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 현황과 방법

이용수 4

영문명
Review and Mothod of Study about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Chosun-jok) Diaspora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박경용(Gyeong-Yong Bak)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1권 제1호, 71~10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는 조선족의 이주와 적응, 생활사를 기록하고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연구방법론이자 역사문화콘텐츠이며 분석을 위한 텍스트다. 중국 조선족은 이미 초기 이주세대가 대부분 자연 사멸함으로써 이주와 적응, 생활사의 많은 기억이 소멸되어 안타까운 실정이다. 한국과 중국에서 한국어로 간행된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16권의 생애사와 5편의 논문이 산출된 정도여서 우선 양적으로 대단히 빈약하다. 하지만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의 단초를 열어주었다는 점에서는 그 가치와 의의가 적지 않다.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의 한 가지 대안으로 이른바 ‘포괄적 구술생애사’를 제시한다. 이는 구술생애사를 구전 및 구술증언 등과 더불어 구술사의 한 가지 단순한 분야로 간주하는 기존의 입장을 넘어서는 것을 의미한다. ‘포괄적 구술생애사’는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구전 및 구술증언, 생애담, 구술생활사 등을 모두 포괄함으로써 구술사 영역 내의 위상을 격상시키는 것이다.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는 디아스포라 유형에 따라 연구 전략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즉 동북3성의 본거지 조선족과 이곳을 떠나 중국 내외로 재이주한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의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이주 시기와 동기, 과정뿐만 아니라 연령층이 상이하고 이주지의 생활조건들이 달라 이주와 적응, 생활사의 양상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본거지 조선족 구술생애사는 구전과 구술증언, 생애담을 비롯하여 이주와 적응, 생활사 중심으로 접근한다. 반면 재이주지 조선족 구술생애사는 생애주기에 따른 생애담과 이주과정 외에 재이주사회에 정착, 적응하는 과정의 생활양상 위주로 접근한다. 필자는 우선 동북3성 각처의 ‘조선족 100인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기록’을 제안한다. 연구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한국과 중국 내 관련 연구기관이나 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Chosun-jok) diaspora is an useful method for recor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adaptation, the oral history of Korean-Chinese’s everyday lives. And it is history, culture contents and the text for analysis. Focused on Korean articles and books, there have been very poor only 16 books of life histories and 5 articles on this part until now. But it is much significant and worthwhile that these studies lead to more research about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diaspora in the future. I would propose 'the more inclusive oral life history’ as an alternative plan for up-grad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diaspora. For this, we must inclusively contain the concerning oral tradition, oral testimony, life narrative and the oral history of everyday lives in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And then we must make up-grade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diaspora in the field of oral history. It is necessary for us to adopt different strategies according to two unlike diaspora types so as to study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diaspora. The case of the first diaspora about Korean-Chinese in original regions should be all focused on oral tradition, oral testimony, life narrative and oral culture history of everyday lives. But another case of the second diaspora about Korean-Chinese in re-migration regions should be more focused on the process of adaptation and the history of everyday lives in new migration regions than oral tradition and oral testimony. We can conserve the history of Korean-Chinese and make up for Korean history through recording of the oral life history about Korean-Chinese diaspora. We can make good use of it to education and culture tourism storytelling and for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broadcasting and movie, drama, literature, museum etc.

목차

Ⅰ. 머리말
Ⅱ. 구술사와 코리안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Ⅲ.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 현황, 의의와 과제
Ⅳ.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방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용(Gyeong-Yong Bak) . (2014).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 현황과 방법. 아태연구, 21 (1), 71-108

MLA

박경용(Gyeong-Yong Bak) .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 현황과 방법." 아태연구, 21.1(2014): 71-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