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대 일본의 문자문화 전개와 한국계 이주민에 관한 연구

이용수 23

영문명
A Study of the Chinese character development and Culture in Ancient Japan and Korean immigrants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저자명
이창수(Chang-Soo Lee)
간행물 정보
『아태연구』제21권 제1호, 143~16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 일본은 동아시아 문명의 소통수단이었던 한자문화의 유입을 통해 비약적인 발전을 구가한다. 그리고 문자 도입 및 활용에서 대표적인 상대 문헌의 성립과정에 이르기까지 한국계 이주민들의 역할은 매우 컸다. 본 논문은 고대 일본에서 한자문화 유입과정을 시기적으로 구분하여 발굴문자와 상대 문헌에 나타난 일본의 지식수준과 그 작업에 직접적으로 가담했을 것으로 보이는 한국계 이주민들의 활약상을 도출해 본 것이다. 먼저 발굴문자에 나타난 고대 이전 일본의 문자문화는 중국 또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문명권하에 전개된 문자의 소통과정에서 이용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일본열도의 국가나 사회의 성숙과 관계없이 외부에 있었던 특수기호로서 국제관계라는 한정된 장에서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출토사료와 문헌상에서 볼 때 문자가 지방에까지 통용되고 그에 따른 문자문화가 본격적으로 전개된 시기는 7세기 후반 이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본열도 각지에 단기간에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문자문화는 동아시아 선진 문명과 혼연일체가 되어 전국적으로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고대 일본사회에 한국계 이주민들의 활약이 단순히 실무적인 기능에 머물러 있지 않고 중앙과 지방에서 학문과 그를 바탕으로 한 문자문화와 정신세계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상대 문헌 성립에는 문자의 도입이후 고도의 문자 활용 능력과 지식, 그리고 문장력을 지닌 한국계 이주민의 활약이 그 배경에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lassifies the introduction of culture of Chinese character into ancient Japan based on time. Furthermore, this searches the Japanese’s level of knowledge appeared by excavated words and ancient literatures and the action state of Korean immigrants descent thought to be joined in formation of Japanese text culture directly. First, the text culture of Japan before the ancient times is used in the progress of communication of Chinese character under the East Asian cultural sphere around China or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we may assume that as the outside special symbols regardless of the maturity of country and society in the Japanese Islands, this text culture had been used only a limited space like international relations. Also, from excavated historical records and literatures, we can say the period that text culture spreads in local and developed in earnest was after the late 7th century. Also, in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rapid diffusion in local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 and the East Asian’s advanced civilization mixed as one and accepted together. This tells that immigrants of Korean descent played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operational function but also in mental formation process in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based on learning.

목차

Ⅰ. 머리말
Ⅱ. 발굴문자를 통해 본 문자문화
Ⅲ. 철검 명문과 한문문화
Ⅳ. 한자문화의 확산과 전개
Ⅴ. 문자문화와 동아시아 문명수용
Ⅵ. 고대 일본의 문자문화와 한국계 이주민
Ⅶ.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수(Chang-Soo Lee) . (2014).고대 일본의 문자문화 전개와 한국계 이주민에 관한 연구. 아태연구, 21 (1), 143-167

MLA

이창수(Chang-Soo Lee) . "고대 일본의 문자문화 전개와 한국계 이주민에 관한 연구." 아태연구, 21.1(2014): 143-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