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웨덴의 보충적 보호제도 연구와 한국의 제도개선을 위한 시사점

이용수 51

영문명
A Study on Subsidiary Protection in Sweden and Its Policy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김수경(Sooky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6권 제4호, 443~46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보충적 보호제도는 난민협약이 정의하는 난민 인정사유에는 부합하지 않지만 난민과 유사한 상황에 처해 국제적 보호가 필요한 이들을 지원하는 제도다. 유럽연합은 보충적 보호제도의 기준을 확립하고 회원국들은 이에 근거해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한국의 보충적 보호제도는 여전히 기준과 정의가 불분명하고 난민과 비교할 때 제공되는 처우가 지나치게 열악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본 연구는 난민 수용에 오랜 역사를 지닌 스웨덴의 보충적 보호제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제도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웨덴은 2005년 「외국인법」을 제정하면서 난민지원과 별도로 보충적(대안적) 보호제도를 운영해 왔다. 시리아 내전 등 대규모 난민 발생상황이 지속되면서 스웨덴의 난민 정책도 과거에 비해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충적 보호지위 인정자에게 여러 권한과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웨덴의 보충적 보호제도 분석을 근거로 한국의 보충적 보호 지위와 인도적 체류 지위를 분리해 별도의 자격과 권한을 부여해야 함을 제언했다. 또한 보충적 보호지위 인정자의 권한을 강화해 이들의 사회통합을 도모할 것을 제언했다.

영문 초록

Subsidiary protection is international protection for those who do not qualify as refugees but whose life would be in danger when returned to their country of origin. While the European Union has established the standards of the subsidiary protection and the member states are operating their policies based on it, it is consistently pointed out that the South Korean system is still lacking concrete standards and the rights and benefits given to subsidiary protection status holders are too limit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ubsidiary protection of Sweden, which has a long history of accepting refugees,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outh Korean system. Sweden enacted the Alien Act in 2005 and stipulated the rights of subsidiary protection status holders. Even though Sweden started to restrict refugee benefits after the massive influx of refugees from Syria, it still provides more rights and benefits than South Korea. This study suggests that South Korea should distinguish the subsidiary protection from humanitarian protection and grant separate qualifications and policies and that the rights given to subsidiary protection status holders should be strengthened to help their better social integration into South Korean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보충적 보호제도의 역사
Ⅲ. 한국의 보충적 보호 제도
Ⅳ. 스웨덴의 보충적 보호 제도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경(Sookyung Kim). (2022).스웨덴의 보충적 보호제도 연구와 한국의 제도개선을 위한 시사점. 한국과 국제사회, 6 (4), 443-466

MLA

김수경(Sookyung Kim). "스웨덴의 보충적 보호제도 연구와 한국의 제도개선을 위한 시사점." 한국과 국제사회, 6.4(2022): 443-4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