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황사를 통해 본 위진남북조 시기 환경사

이용수 86

영문명
Yellow Dust and the Environment History of Early Medieval China
발행기관
한국생태환경사학회
저자명
김석우(Kim, Sukwoo)
간행물 정보
『생태환경과 역사』제8호, 117~169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9,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대에 발생한 황사 기록은 몇 건 밖에 없으나, 위진남북조 시대에는 그 수효가 크게 증가한다. 이 차이에 대해서 관심을 가졌던 학자들은 많지 않았는데, 이 논문에서는 몇 가지 측면에서 그 원인이 추론되었다. 첫째, 한대의 황사 기록이 적었다는 이유만으로 사막화 정도 등 당시의 생태 환경을 평가하기는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한대 황사의 발생 시기가 확인되는 사례는 단 세 건에 불과한데, 모두 정치적으로 중대한 의미를 내포한 재이 현상이었다. 이들은 모두 여름에 발생한 것이라는 점에서, 통상 황사가 잦은 겨울과 봄철에 발생했을 한대의 황사들은 기록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커 보였다. 둘째, 후한 말과 위진 시기 황사 기록이 크게 증가한 이유가 논의되었다. 당시 사료에 보이는 황사 기록은 ① 모래와 먼지, 흙 등이 대기에 가득한 경우 ② 대기의 색이 황색과 흙색 등으로 바뀐 경우 ③ 대낮에 사방이 어두워진 경우 등 세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록의 검토 결과 신뢰할만한 황사 사례 30건이 제시되었다. 이들을 분석해 보니, 24건은 각국 수도에서 관측된 황사이고, 나머지는 주로 전쟁터에서 목격된 것들이었다. 그런 점에서 통일 제국의 붕괴 이후 황사 기록이 증가하게 된 원인은 우선적으로 복수의 황제 국가가 병존하고, 국가 간 전쟁이 빈발하게 된 데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황사 발생과 전 지구적 기후 변화 간의 관계가 검토되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6세기 중반 이후 남방의 황사는, 화산 폭발로 야기된 ‘진막(塵幕)’ Dust Veil 현상과 그 이후 전개되었던 ‘고대 후기 소빙기’와 인과적 관계에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본고에서는 남북조· 수초(隋初) 시대의 40건 황사 기록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당시 황사가 가장 심했던 시기가 5세기 말 6세기 초라는 점이 논증되었다. 따라서 시기적 차이를 볼 때, 전 지구적 기후 변동과 중국 황사 발생 간의 연관성은 명료하지 않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넷째, 황사 발생을 증가시킬만한 인위적인 환경 변화가 없었는지가 검토되었다. 후한 이후 동아시아에 몰아닥친 기후 한랭화와 그에 따른 유목민의 대거 남하는 화북의 농경지대를 사실상 반농반목 지대로 변모시켰다. 6세기의 농서 제민요술은 농업과 목축업을 함께 영위했던 화북민들의 생활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당시 그들은 돼지고기보다 양고기를 더 많이 소비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은 화북 지역의 유목화를 보여주는 주요한 표지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농목업의 병행은 토양의 사화(沙化)를 촉진하였을 것으로 보이는데, 황사 기록의 증가는 그러한 추론을 뒷받침하는 일로 보인다. 요컨대 분열 시대의 출현과 전쟁의 증가, 기후 한랭화에 따른 화북 평원의 반농반목지대화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위진남북조 시대에 황사 기록과 실제 황사 발생이 증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잠정적 결론이다. 이렇게 본다면 인간이 자연을 어떻게 이해하고 기록 했는가 그리고 자원을 어떻게 활용 하였는가 등이 황사를 이해하는데 관건의 문제가 될 것 같다. 앞으로 더 많은 자료 검토와 공부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number of yellow dust records in the Han Dynasty was only three. However, it increased significantly to about 70 during the Wei-Jin-Nan-Bei-Chao era. What is the cause of this change? In this paper, the environmental history of China from 3rd to 6th centuries was discussed regarding yellow dust. The main points are as follows. First, in Han times, there were only three sand dust records with known date of the incident. These events had special political significance. On one occasion, yellow dust symbolized that the Han Dynasty had a mandate of Heaven. On the other, it was interpreted as a sign of future destruction of the Han Dynasty.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yellow dust record was left to express political meaning in Han times. Second, there were about 30 yellow dust records during the Wei-Jin period, most of which were observed in the capitals of various countries. The rest of the records were about yellow dust on the battlefield. As the unified empire collapsed and several countries coexisted, the number of weather observation capital cities increased. Frequent war was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yellow dust records during this period. The era of division was the main background of the increase in yellow dust record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yellow dust and global climate cooling was also reviewed. Yellow dust was often seen in the Jiankang capital of South empire during this period. One scholar claimed that it was the part of the dust veil phenomenon that covered the Mediterranean Sea in the mid-6th century. China's yellow dust was understood as a phenomenon of Eurasian climate change, that is, the Late Antique Little Ice Age climate. However, those claims did not fit the remaining yellow dust records. The most severe yellow dust occurred in the late 5th century, not in the 6th century. Fourth, the increase in yellow dust seemed to be related to the significant expansion of not only agriculture, but also livestock in the mid- and down-stream plains of the Yellow River. The record of the famous 6th century agricultural book Qi-Min-Yao-Shu (齊民要術) and the expansion of lamb consumption showed that the North China Plain had virtually transformed into a semi-agricultural semi-nomadic area. When the climate became cold and food became scarce, people mainly consumed lamb rather than pork. When livestock farming and agriculture were carried out together, the desertification of the soil proceeded rapidly. Thus, the increase of yellow dust during this period could be said to be the result of human choice to cope with climate cooling in the early medieval times. In conclus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emergence of the era of political division and the climate cooling were the main background of the increase of yellow dust.

목차

머리말
1. 황사 기록의 정치성
2. 황사 공간의 확대
3. 전 지구적 기후 변동과 황사
4. 반농반목 지대의 확산과 황사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석우(Kim, Sukwoo). (2022).황사를 통해 본 위진남북조 시기 환경사. 생태환경과 역사, (), 117-169

MLA

김석우(Kim, Sukwoo). "황사를 통해 본 위진남북조 시기 환경사." 생태환경과 역사, (2022): 117-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