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울릉도 수토 각석문의 현황과 특징

이용수 4

영문명
Pres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rock inscription for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in Ulleung-do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한성주(Han, Seong-Joo)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31호, 137~17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후기 정기적인 수토제(搜討制) 실시는 1694년(숙종 20) 장한상(張漢相)의 울릉도 수토로 시작되었다. 수토사(搜討使)들은 자신들이 다녀간 흔적을 남기기 위해 각석문(刻石文)을 남겼는데, 수토(搜討)의 가장 확실하고 직접적인 증거이다. 그동안 단편적으로 울릉도 수토 각석문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아직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대략적인 현황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그동안 수토 각석문의 조사와 연구 현황을 종합하여 비교·검토하고, 현재까지 발견된 각석문의 내용을 비교 검토하는 동시에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711년(숙종 37) 박석창(朴錫昌)이 남긴 ‘울릉도 도동리 신묘명 각석문’은 수토제 시작 후 불과 17년이 지난 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그가 남긴 울릉도도형(鬱陵島圖形)에도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또 그의 울릉도도형에는 ‘각석입표소(刻石立標所)’를 표시하였는데, 이 표시는 이후 제작된 조선 후기 지도에 동일하게 그려져 있다. 따라서 박석창의 각석문은 현재까지 남아있는 울릉도 수토 각석문 중 가장 오래된 것일뿐만 아니라 울릉도 수토 각석문 중 최초의 것일 가능성도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울릉도 수토 각석문은 크게 8개로 볼 수 있으며, 시기적으로는 1700년대 2개, 1800년대 5개, 1900년대 1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류하면 서로 다른 14명의 각석문으로 나눌 수 있다. 지역별로는 서면 태하리에 4개 8명, 울릉읍 도동에 3개 4명, 북면 현포리에 1개 2명의 각석문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은 총 4개 7명의 각석문으로 발견된 수의 50%에 지나지 않는다. 울릉도의 개발 등으로 행방불명되거나 마모가 심해 판독이 어려운 각석문이 다수가 존재한다. 또한 울릉도 주민들의 증언에는 각석문이 수없이 많았다고 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각석문이 발견된 가능성이 있다. 울릉도 수토 각석문에는 수토관(搜討官)뿐만 아니라 수토사에 참여하였던 다양한 사람들의 직명(職名)과 이름이 새겨져 있다. 각석문에 남아있는 직명 등은 문헌 자료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수토사의 규모나 구성 등을 파악하게 해 줄 것이다. 각석문은 조선시대 울릉도 수토와 독도 수호 노력의 직접적 증거이므로 이에 대한 추가 조사 및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搜討制度) regularly applied in the Late Joseon started in 1694(the 20th year of King Sookjong reign), as Jang Han-sang (張漢相) was sent to Ulleung-do(鬱陵島). Jang Han-sang and his entourages left rock inscription(刻石文) to record their activities. This is a sure and direct proof of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There has been partial survey and study about rock inscription for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in Ulleung-do. But comprehensive study has not existed until now so that approximate situation only could be known. The thesis compared and reviewed existing survey and study for rock inscription of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content of rock inscription discovered,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In 1711(the 37th year of Sookjong reign), Park Seok-chang(朴錫昌) left 'Dodong-ri Sinmyo year rock inscription in Ulleung-do', only 17 years later from start of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Ulleung-do figure'(鬱陵島圖形) made by Park Seok-chang also shows same content. And his 'Ulleung-do figure' includes location of rock inscription. Such location indication was shown on the map produced in the Late Joseon. Rock inscription by Park Seok-chang is not only the oldest one but also is deemed to be the first rock inscription among extant rock inscriptions for territorial protection. Number of rock inscription for territorial protection in Ulleung-do discovered until now is 8, largely classified. By period, 2 in 1700s, 5 in 1800s, 1 in 1900s. In detail, there are rock inscriptions made by 14 different officers in charge of territorial protection. By location, 4 by 8 officers in Taeha-ri, Seo-myeon. 3 by 4 officers in Dodong, Ulleung-eup. 1 by 2 officers in Hyunpo-ri, Buk-myeon. But only 4 rock inscriptions by 7 officers are extant, which is 50% of rock inscriptions discovered until now. There are some rock inscriptions which cannot be located caused by development of Ulleung-do etc. or are illegible due to severe wear. Residents of Ulleung-do say that there were a number of rock inscriptions so that there could be a possibility to discover rock inscriptions more. Rock inscriptions for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show not only position and name of officer in charge of territorial protection(搜討官) but also position and name of his entourages. Official position etc. carved on the rock inscriptions can make it possible to know scale and details of territorial protection through comparison and review with documentary sources. Rock inscriptions are direct proof for efforts to protect Ulleung-do and Dok-do in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rvey further and study comprehensively.

목차

1. 머리말
2. 수토 각석문 조사 및 연구 현황
3. 현재까지 발견된 각석문의 내용 분석
4. 맺음말 - 울릉도 수토 각석문의 특징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성주(Han, Seong-Joo). (2021).울릉도 수토 각석문의 현황과 특징. 독도연구, (), 137-171

MLA

한성주(Han, Seong-Joo). "울릉도 수토 각석문의 현황과 특징." 독도연구, (2021): 137-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