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역사교사의 모의수업 경험과 수업 전문성

이용수 113

영문명
Experiences in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History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지모선(Ji, Mosun)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43호, 7~47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21년 2학기 S대학 “세계사교육과 다문화이해”를 수강한 예비 역사교사 11명이 강의 진행 과정에서 제출한 결과물 및 <모의수업> 촬영 영상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예비 역사교사들의 목소리를 듣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 전문성을 갖춘 예비 역사교사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예비 역사교사들은 그들의 학창 시절에 경험한 “관찰의 도제” 기간을 극복하지 못한 채 적극적으로 수업을 재구성하지 못하였으며, 내용 지식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 ‘수업 내용 이해’를 수업 구성에 있어 우선시하였다. 예비 역사교사들은 학생 대상으로 수업 경험이 없으며, 학생의 부재 속에서 이루어지는 <모의수업>의 특성 상 학습자의 수준을 가늠하는 것이 어려움으로 작용하였으며, 학습자의 선지식 및 선경험을 고려해야 함에도 적극적으로 고려하지 못하였다. 예비 역사교사들은 활동을 통해 수업에 대한 집중과 수업 분위기 환기 및 흥미를 바탕으로 교사의 일방적 설명을 보완하고자 하는 관계로 실질적인 배움으로 이어지는 수업으로 이어지지 못하였으며, 시간을 고려하지 못한 ‘활동’의 과잉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교원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이 “관찰의 도제”를 넘어설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4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교사 교육자는 예비 역사교사들이 역사학이라는 학문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둘째, 교사 교육자는 역사학의 본질을 강조하면서, 예비 역사교사들이 교과교육 영역의 지식이나 이론을 습득한 뒤 이를 ‘실제로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예비 역사교사들이 제대로 된 ‘활동’을 구현할 수 있는 능력과 자질을 기를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예비 역사교사들이 경험의 한계를 극복하고, 좋은 역사 수업에 대한 안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업비평 과정을 교육실습 전에 배치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preservice history teachers by analyzing the videotaped and outcomes submitted by total 11 preservice history teacher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could not actively recompose classes without overcoming the period of “observation of apprenticeship” they experienced in their school days, and they also regarded the efficient ‘delivery’ of content knowledge as the most important. They also prioritized learners’ ‘interest’, ‘attention’, and ‘understanding of lesson contents’ for the composition of classes.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had no class experiences with students, so guessing the level of learners was working as a difficulty in with the absence of students. Even though the prior knowledge and prior experience of learners should be considered, they were not actively considered.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could not provide classes leading to practical learning in order for complementing the unilateral explanation of teachers based on the concentration on classes through activities, and change and interest of class atmosphere. They also sometimes showed excessive ‘activities’ without considering time. So, the researcher proposed four suggestions for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provide experiences. First, the teacher educators should help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historical science as studies. Second, emphasizing the essence of historical science, the teacher educators should help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to ‘actually apply’ knowledge or theories in the area of curriculum education after learning them. Third,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should be provided with experiences for developing abilities and qualifications to realize proper ‘activities’. Lastly, the process of class criticism should be arranged before teaching practice, so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perience, and also form the discernment in great history classes.

목차

Ⅰ. 머리말
Ⅱ. 수업 전문성과 예비 역사교사
Ⅲ.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모선(Ji, Mosun). (2022).예비 역사교사의 모의수업 경험과 수업 전문성. 역사교육연구, (), 7-47

MLA

지모선(Ji, Mosun). "예비 역사교사의 모의수업 경험과 수업 전문성." 역사교육연구, (2022): 7-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