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치적·사회적 갈등의 통합을 위한 권력구조 및 선거제도 개선방안

이용수 502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wer Structure and Election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Centered o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김정현(Kim, Jung-Hyun)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第28卷 第2號, 1~55쪽, 전체 55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9,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20대 대통령선거과정 동안 한국정치의 고질적 병폐였던 이념갈등과 지역갈등 외에도 성별 갈등과 세대 갈등이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는 지역·세대·성별에 따라 지지후보가 확연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정치가 본연의 역할인 사회통합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갈등을 심화하고 촉발하는 역기능만 담당하여 정치무관심을 넘어선 정치혐오를 사회전반에 뿌리 깊게 고착화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의 대통령제는 승자독식구조를 내포하고 있어서 권력분점을 불가능하게 한다. 선거제도는 양당구도를 고착화시켜 국민의 다양한 정치적 선택권을 제약하고, 양 정치세력의 대결국면을 심화시킨다. 제도의 장단점은 있고, 한국 사회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를 놓고 제도를 선택해야 한다. 지금처럼 정치가 사회의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지 않고, 사회갈등을 정치갈등으로 확장하는 체제에서는 사회통합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위기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헌법적 고민이 치열하게 요구되는 시점이다. 정치가 타협과 협치의 기반 위에 이루어질 수 있는 권력구조로 변경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대통령 4년 중임제로 변경하고 대통령은 결선투표로 선출하되, 의원의 절반을 집권 초반기 총선에서, 나머지 절반을 중간선거에서 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민들은 두 번의 의원선거를 통해 대통령과 국회에 대한 중간평가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2년마다 대표를 평가하여 상과 벌을 각각 줄 수 있다면, 제왕적 대통령이나 무책임한 국회는 존재하기 힘들어질 것이다. 국회가 총리 추천권을 갖는다면, 2년 마다 실시하는 의원선거에서 야당이 승리할 경우에는 총리 인선에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야간의 연립정부 구성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권력분점을 위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28조를 개정하여 공공기관장의 임기를 이사·감사와 마찬가지로 3년에서 2년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대통령선거 주기 및 의원선거주기에 맞춰서 야당이 의원선거에서 승리한다면, 야당이 공공기관장 추천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 정치의 다원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대통령은 결선투표제로 선출하고, 2년 마다 실시하는 의원선거는 대선거구제에 기반해서 선출한다면 소수정당의 새로운 활로가 열릴 수 있다. 소수정당의 대통령후보자는 후보사퇴를 강요받지 않고, 1차 투표 결과에 따라 연대를 하면 된다. 소수정당의 진출로 다양한 정치세력이 국회에서 공존한다면, 갈등국면에서 조정자 역할을 할 수 있다. 타협과 다원성 확보에 기반한 헌정체제로 개편해야 한다. 그래야 정치세력들이 갈등을 조정하고 통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영문 초록

During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process, in addition to ideological and regional conflicts, which were chronic ills of Korean politics, gender conflicts and generational conflicts developed to a very serious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ndidates for support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region, generation, and gender. If this trend continues, it is highly likely that politics will deeply entrench political hatred beyond political apathy throughout society by failing to perform its original role, social integration, and only playing a reverse function that deepens and triggers conflict. The current presidential system implies a winner-take-all structure, making it impossible to divide power. The election system fixes the two-party structure, limiting the people's various political options, and deepen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political forces. There are pros and cons of the 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choose the system over how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Social integration is not only impossible under a system in which politics does not resolve various conflicts in society and expands social conflicts into political conflicts, but it can also lead to a crisis situation in the country. It is time for constitutional concerns to be fiercely demanded. Politics should be changed to a power structure that can be achieved on the basis of compromise and cooperation. To this end, it is desirable to change the four-year term of office to a four-year term of office and elect the president by a runoff vote, but to elect half of the members in the general election in the early half of the administration and the other half in the midterm elections. The public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conduct an interim evaluation of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through two parliamentary elections. If a representative can be evaluated every two years to give prizes and punishments, it will be difficult for a imperial president or an irresponsible National Assembly to exist. If the National Assembly has the right to recommend the prime minister, it will be able to play an active role in selecting the prime minister if the opposition party wins the two-year parliamentary elections. It may also be possible to form a coalition government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se Article 28 of the “Act on the Operation of Public Institutions” to adjust the term of the head of a public institution from three years to two years, like directors and auditors. If the opposition party wins the parliamentary elections in line with the presidential and parliamentary elections, it should pave the way for the opposition party to recommend the heads of public institutions. We must be able to guarantee the pluralities of politics. If the president is elected on a runoff system, and the two-year parliamentary elections are elected based on the multimember district system, a new way for minority parties can be opened. The presidential candidate of the minority party is not forced to resign, but can unit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rst round of voting. If various political forces coexist in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the entry of minority parties, they can act as a coordinator in the conflict phase. It should be reorganized into a constitutional system based on compromise and securing pluralism. Only then can political forces move in a direction that can coordinate and integrate conflicts.

목차

Ⅰ. 서 론
Ⅱ. 제20대 대통령선거과정 및 갈등과 분열의 심화
Ⅲ. 권력구조와 선거제도의 개선방안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현(Kim, Jung-Hyun). (2022).정치적·사회적 갈등의 통합을 위한 권력구조 및 선거제도 개선방안. 헌법학연구, 28 (2), 1-55

MLA

김정현(Kim, Jung-Hyun). "정치적·사회적 갈등의 통합을 위한 권력구조 및 선거제도 개선방안." 헌법학연구, 28.2(2022): 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