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천∼제주 해상물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이용수 78

영문명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Incheon-Jeju Marine Logistics: Centering on Incheon Port
발행기관
한국물류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물류학회지』제32권 제3호, 77~8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천∼제주 뱃길이 2021년 12월 10일 7년 8개월여 만에 첫 정기 운항을 개시하였다.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이후 끊겼던 뱃길이 다시 열린 것이다. 인천∼제주 뱃길의 재개로 인천 연안부두 지역경제의 활기가 살아나고, 제주 농·수산물의 공급 증가로 인한 인천 연안부두의 물류 업무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제주에서 호남을 거쳐 수도권으로 가는 물류 흐름이 제주에서 인천항으로 직접 이어져 물류비용 절감과 물류 왜곡 현상도 해소가 되어 해상운송을 통한 물류 업무의 숨통이 트이게 될 전망이다. 또한, 인천항만공사는 연간 연안 여객 수가 100만명대를 회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인천항 기반 시설 확충과 연안 관광 활성화에 기여해 연안 여객 증대와 연안부두 주변 지역 활성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제주 간 해상물동량 증가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의 연구 필요가 필요하며, 인천∼제주 간 재취항에 따른 인천항 물동량 증가와 변화에따른 총취업유발효과 및 경제적 유발효과 분석과 인천∼제주 해상물동량 증가에 따른 인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제주 뱃길의 재개로 인천항을 중심으로 “인천 지역경제가 얼마나 활성화되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총취업유발효과와 경제적 유발효과에 대한 연구 모형을 도출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세월호 참사 이전ㆍ 이후 인천∼제주 간 해상물류 현황을 조사하고, 인천항과 지역경제 발전에 대한 문헌 조사와 기존 연구 등을 수행하였다. 둘째, 인천∼제주 간 해상물류 재개에 따른 총취업유발효과와 경제적 유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개발하였다, 셋째, 이 모형을 기반으로 인천∼제주 간의 해상물류 활성화가 정상화되면, 제주삼다수, 제주농산물 등이 제주 → 인천항으로 60% 이상 유입되어 해상물동량은 최소 145만톤에서 최대 215톤으로 증가되고 이에 따라 총취업유발효과는 최소 1,629명에서 최대 2,618명까지총취업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주 → 인천항으로 유입되는 해상물동량의 증가로 최소 1,060억에서 최대1,703억까지 경제적 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 이후 인천항을 중심으로 해상물류 활성화 방안에대한 최초의 연구로, 앞으로 항만을 중심으로 총취업유발효과와 경제적 유발효과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n December 10, 2021, the ‘Incheon-Jeju’ ferry started its first regular service after 7 years and 8 months. The ferry, which had been cut off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n April 2014, was reopened. The resumption of the ‘Incheon-Jeju’ waterway is expected to revive the local economy of the Incheon coastal pier and revitalize the logistics business of the Incheon coastal pier due to the increase in the supply of Jeju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In the meantime, the flow of logistics from Jeju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via Honam is expected to lead directly from Jeju to Incheon Port, reducing logistics costs and resolving the distortion of logistics, thereby opening the door to logistics business through maritime transport. In addition, Incheon Port Authority expects that the annual number of coastal passengers will recover to 1 million,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oastal passengers, revitalize the area around the coastal pier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Incheon Port infrastructure and revitalization of coastal touris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tudy a plan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maritime freight volume between Incheon and Jeju. It is time for policy proposals to revitalize the Incheon regional economy due to the increase in the Incheon-Jeju maritime trade volum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maritime logistics between Incheon and Jeju before and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was investigated, and the ‘total employment of An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for ‘inducing effect’ and ‘economic inducement effect’. Based on this research model, “total employment induction effect” and “economic inducement effect” caused by the increase in maritime transport volume were calculated and “how much the Incheon local economy is activated” simulation was performed. In other word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only about 5-6% of Jeju Samdasoo and Jeju agricultural products entered Incheon Port, and on December 10, 2021, sea transportation from Jeju → Incheon Port was resumed and about 60 to 65% of Jeju Samdasoo and Jeju agricultural products were resumed. It is expected to flow into Incheon Port again. Therefore, by estimating the change in future cargo volume for the next three to five years, such as 2022 to 2025, the number of jobs created by the total employment induction effect and the economic inducement effect were calculated. In other words, when the vitalization of maritime logistics between Incheon and Jeju is normalized, Jeju Samdasoo, Jeju agricultural products, etc. will flow into Jeju → Incheon Port, and the volume of marine cargo is expected to increase from a minimum of 1.45 million tons to a maximum of 215 tons. It is expected that the total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ill occur from a minimum of 1,629 people to a maximum of 2,618 peopl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n economic inducement effect of at least 106 billion won to a maximum of 170.3 billion won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sea freight flowing from Jeju to Incheon.

목차

Ⅰ. 서 론
Ⅱ. 현황분석
Ⅲ. 활성화 방안 연구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인천∼제주 해상물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물류학회지, 32 (3), 77-87

MLA

. "인천∼제주 해상물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물류학회지, 32.3(2022): 77-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