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책 네트워크로서의 한중해양협력

이용수 61

영문명
The Marin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s a Policy Network: Focusing on the Maritime Boundarie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저자명
간행물 정보
『동서연구』제34권 2호, 165~19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해양경계획정을 둘러싼 한중 양국 정부와 민간의 해양협력과 제도화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정책 네트워크의 개념을 통해 정부와 민간기구의 주요 협력 분야와 행위자를 분석하고 협력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한다. 한중 해양협력 논의 과정 및 관련 정책, 이행에 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한중 해양협력은 정부 간 정기적인 회의와 협약체결을 통해 추진되었다. 한중 양국 정부는 해양경계획정 협상을 위해 국장급 이상의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해양산업, 과학, 기술, 자원, 환경협력에 관한 논의를 종합적으로 추진하는 등 협력 분야를 다각화하였다. 둘째, 중앙정부 이외에 비정부기관, 민간기구 등 해양과 관련된 전문가를 통해 해양협력을 모색하였다. 민간 해양기구의 경우 장기간 공동연구를 추진했으며 연구자 간 교류를 통해 신뢰를 구축했다. 이는 민간 협력이 정부를 포함하여 다각적인 협력을 추진해왔으며 해양과학기술에서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으로 본 연구는 정부와 민간에서 정부 교류와 연구를 통해 다층적으로 해양 협력을 구축했으며 한중 해양경계획정을 위해서는 중장기적이고 포괄적인 해양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heds light on what forms have been developed to institutionalized collaboration over both governments over the maritime boundaries between Korea and China, private maritime cooperation, and the policy network.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overnments and the main areas and actors of the cooperation of private organizations through the concept of the policy network and suggests the policy measures for the association. Specifically, the process of discussion or policy implementation related to the maritim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aritim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een promoted by regular conferences and accords between both governments. The discussion of the maritime cooperation between both countries has been diversified in areas and objects, such as regular conferences for the maritime boundaries, and the debate being prompted for the maritime business, science, technologies, nature, and environmental cooperation. Second, the various associates not only the central government but also non-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have attempted to seek marine cooperation. According to the private marine organizations, they established marine cooperation comprehensively through long-term joint research and interactions between researchers. This is because private cooperation including the governments has prompted multilateral cooperation and manifested the specific outcomes in the marine science-technology. In other words,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needed to establish a mid-to-long-term and comprehensive maritime government, noting that the areas and actors in marine cooperation in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diversified.

목차

Ⅰ. 서 론
Ⅱ. 정책 네트워크로서의 한중해양협력
Ⅲ. 한중 해양협력과 쟁점 관리
Ⅳ. 한중 해양경계획정과 제도화된 협동 모색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정책 네트워크로서의 한중해양협력. 동서연구, 34 (2), 165-198

MLA

. "정책 네트워크로서의 한중해양협력." 동서연구, 34.2(2022): 165-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