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북 경제제재의 효과성 분석

이용수 598

영문명
The Effectiveness of UNSC Economic Sanctions on Byungjin Policy, 2013-2019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저자명
간행물 정보
『동서연구』제34권 2호, 123~164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북한의 비핵화와 관계개선에 대한 진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유엔안보리 대북제재 해제가 김정은의 정상회담외교 추진의 주요 목적이었음을 주장한다. 하노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 최종 핵담판에서 공개된 북한의 요구조건이 미국의 군사압박 해제가 아닌 유엔제재 해제였음을 고려할 때 유엔제재가 경제-핵무력 병진노선의 실패를 강압하여 당시 김정은을 핵협상으로 끌어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었다고 판단된다. 이는 북한정권의 최우선 정책목표인 지도자 개인의 정치적 생존을 핵개발이 아닌 남한 및 미국과의 관계개선과 개혁개방 추진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는 김정은의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유엔제재가 경제-핵무력 병진노선의 실패를 강압하여 김정은을 핵협상으로 끌어냈다는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경제-핵무력 병진노선과 유엔제재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김정은은 지도자 개인의 정치적 생존을 위해 핵무력건설과 경제건설의 편익이 상충되는 모순의 병진노선을 계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북한의 국내정치적 배경을 감안할 때 김정은은 최소한 대북제재의 영향력이 현실화되었던 하노이 정상회담 당시 악화되고 있는 북한경제를 개선하기 위해 영변 핵시설 폐기를 제재해제와 맞교환하여 장기집권에 필요한 경제성과를 확보하려 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북한의 반복되는 불량행동에 대한 사후 징벌적 조치의 유엔제재가 북한의 비핵화를 강압하지 못했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최소한 경제제재를 통한 국제사회의 대외압박이 당시 김정은을 정상회담외교로 끌어냈다는 점에서 유엔안보리 대북제재가 부분적으로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concludes that UNSC economic sanctions on Byungjin Policy were effective in US-North Korea Hanoi Summit, investigating Kim Jong Un’s decision making to pursuit summit diplomacy was motivated by the urgency of sanctions lift. It can be presumed that Kim’s cost-benefit calculation pursuing his political survival, which is the top priority of the North Korean foreign policy, can be worked via not a nuclear programme but an economic improvement along with US-NK normalization. To empirically confirm research hypothesis whether UNSC sanctions coerced the failure of Byungjin Policy,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oth Byungjin Policy and UNSC sanctions in 2013-2019. As a result, it is probable that dictator Kim would determine a strategic trade-off between dismantling Yongbyon nuclear facility and UNSC sanctions lift to secure economic improvement, which is a preliminary affair to prolonging his tenure in office. Given the effectiveness of UNSC sanctions on Byungjin policy, economic pressure on North Korean regime was at least effective to induce Kim’s recalibration as to political survival although economic sanctions hardly coerce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제재효과성 결정요인에 대한 이론적 논의
Ⅲ. 지속성과 단절성을 통해 본 김정은의 경제-핵무력 병진노선
Ⅳ. 유엔안보리 대북제재의 효과성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대북 경제제재의 효과성 분석. 동서연구, 34 (2), 123-164

MLA

. "대북 경제제재의 효과성 분석." 동서연구, 34.2(2022): 123-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