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무도하가」의 정동(情動) 읽기 교육 내용 연구

이용수 143

영문명
A Study on the Contents of Affect Reading Education of 「公無渡河歌」: Based on the Deconstructivist Perspective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6권 제1호, 33~6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육의 실천 측면에서 「공무도하가」의 해석을 다양하게 도출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해체적 관점 기반 정동 읽기’를 「공무도하가」 해석 방법의 하나로 제시하였다. 해체적 관점 기반 정동 읽기는 학습자들에게 문학의 심미적 사고를 체험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그 결과 학습자는 문화적 이데올로기들의 대립 속에서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주체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탈문화적 맥락에서 주체적으로 문화를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하게 된다. 이러한 국어교육적 의의를 바탕으로 하여, 「공무도하가」와 그 배경설화를 해체적 관점 기반 정동 읽기 방법으로 해석한 뒤, 그 결과를 교수학적으로 변환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해 보았다.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서 해체적 관점의 본질적 의미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언어 이데올로기의 해석’이라는 이념 측면에서 해체적 관점과 궤를 같이하는 페어클라우(Fairclough, N.)의 비판적 담화분석(CDA) 단계를 개념틀로 원용하였다. 구성된 교육 내용은 전이(transfer)를 중심으로 하는 핵심역량의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량 중심 교육을 지향하는 현대의 교육 사조에 부합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educational contents to derive various interpretations of 「公無渡河歌」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e. To this end, 'reading affect based on a deconstructivist perspective’ was suggested as one of the interpretation methods of 「公無渡河歌」. Reading affect based on a deconstructivist perspective provides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aesthetic thinking of literature. As a result, students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a subject that can be formed in various and complex ways when confronting cultural ideologies and cultivating the ability to analyze culture independently in a decultural context. Based on this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公無渡河歌」 and its background fork tales were interpreted as a reading affect based on a deconstructivist perspective, and the results were transformed into didactic transposition and the educational content was constructed based on this. To prevent the loss of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deconstructivist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didactic transposition,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stage of Fairclough (N.) was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in terms of the ideology of 'interpretation of language ideology'. The composed educational content is consistent with the modern educational trend aimed at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core competencies centered on transfer.

목차

1. 논의의 필요성
2. 해체적 관점 기반 정동 읽기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3. 「공무도하가」의 정동 읽기 교육 내용 구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공무도하가」의 정동(情動) 읽기 교육 내용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6 (1), 33-62

MLA

. "「공무도하가」의 정동(情動) 읽기 교육 내용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6.1(2022): 3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