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초기 정도전(鄭道傳)의 법전(法典) 편찬과 주례(周禮) 이념

이용수 197

영문명
Codification and Zhouli Ideology of Jeong Dojeon in Early Joseon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김인규(Kim, In-Gyu)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圃隱學硏究 제29집, 65~9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조선 초기 정도전(鄭道傳)의 법전 편찬과 법전에 나타난 주례이념(周禮理念)을 고찰한 글이다. 정도전은 조선왕조 개국의 최고 공신이자 조선조 500년의 기틀을 다진 인물로, 건국이념은 물론 관료체제에 이르기까지 온전히 그의 손에 의해 이루어졌다. 정도전은 조선이 건국된 2년 후인 1394년 조선의 통치 조직을 확립하고자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을 찬진하였다. 육전(六典) 체제는 천·지·춘·하·추·동 육관(六官)으로 된 『주례(周禮)』를 이상적인 국가례(國家禮)로 여겨 동아시아의 정치제도에 막강한 영향을 끼쳤다. 『주례』의 국가례는 천·지(天地)와 춘·하·추·동(春夏秋冬)의 자연 질서를 인간 사회에 구현한 것이다. 『조선경국전』은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을 바탕으로 인정론(仁政論), 총재정치론, 육전 체제 등 『주례』의 이념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조선경국전』은 완비된 법전이 아니라 법전에 담아야 할 이념과 방향을 제시한 지침서로 이후 『경제육전(經濟六典)』 및 『경국대전(經國大典)』 편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examine Zhouli(周禮, national rituals) ideology indicated on codification and corpus juris of Jeong Dojeon in early Joseon. Jeong Dojeon is the most prominent founding contributor of Joseon Dynasty and he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500-year-long Joseon period. Not only the ideology of Joseon foundation but the bureaucracy was formed completely with his own hands. He wrote 『Joseongyeonggukjeon』 in order to establish Joseon’s ruling organization to be served as norms for eternity and rendered it to King in 1394(the 3rd year of King Taejo). As everyone knows, Gyeongjeyukjeon system regards 『Zhouli』 of six categories with Heaven·Earth·Spring·Summer· Fall·Winter as the ideal national rituals, which is a classification scheme that forms the backbone of pre-modern Chinese governance and corpus juris. It had significant impact on administration and political systems of all time. The notion of unity between nature and human that tried to realize the natural order of Heaven· arth·pring·Summer·Fall·Winter in 『Zhouli』; benevolent governance theory with the property of benevolence(仁); governor politics theory that stressed publicness of politics and; Gyeongjeyukjeon system are all reflection of 『Zhouli』 ideology. However, 『Joseongyeonggukjeon』 is not a thorough version of corpus juris but a guideline that suggests ideology and future direction of Joseon law, which later served as a guide for publishing 『Gyeongjeyukjeon(經濟六典)』 and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목차

1. 머리말
2. 법전의 편찬 배경
3. 법전의 체제와 내용
4. 법전에 구현된 주례 이념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인규(Kim, In-Gyu). (2022).조선 초기 정도전(鄭道傳)의 법전(法典) 편찬과 주례(周禮) 이념. 포은학연구, 29 (1), 65-90

MLA

김인규(Kim, In-Gyu). "조선 초기 정도전(鄭道傳)의 법전(法典) 편찬과 주례(周禮) 이념." 포은학연구, 29.1(2022): 65-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