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본 기술과 교육의 관계

이용수 277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Education from a Viewpoint of Critical Theory: Focusing on Horkheimer and Adorno’ Theory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홍은영(Hong, Eun-Young)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교육이론과 실천 제27권 제1호, 71~9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술에 대한 교육학적 논의가 기술과 교육을 대립관계로만 환원하는 것은 기술과 교육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제약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문화를 수단과 목적의 이분법적 구도로 구분하는 부르주아적 문화와 교육의 근본적 딜레마를 성찰하는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교육과 기술의 관계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호르크하이머의 도구적 이성 비판에 나타난 수단과 목적의 관계를 로베크의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3장에서는 총체성에 다소 유화적인 호르크하이머의 사유와 달리 내재적 비판의 입장을 취하는 아도르노의 기술 이해를 고찰한다. 이때 특별히 주목할 점은 문화산업적 기술 비판을 넘어 미학영역에서의 기술 개념은 작품의 내용과 재료를 매개하는 총괄 개념으로서 이해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술의 사회적 속성과 기술과 내용 간의 내재적 관계를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도르노의 절반의 교육 비판을 통해 교육과 문화 개념은 인간 정신의 고양과 조화를 추구하는 어떤 고귀한 것을 뜻하지 않고, 오히려 현실과의 연관성에서 자연 지배에의 적응에 연루되고 있다. 절반의 교육으로 나타나는 교육의 퇴보는 문화산업으로 강화되고 있다. 여기서 강조될 점은 문화와 기술의 상호 얽힘에 대한 인식이 교육과 기술 관계에 대한 좀 더 예민한 성찰과 교육 관념 자체의 자기비판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4장에서는 기술은 교육과 완전히 다른 것이 아닌, 기술 안에 교육이 대상화되고, 기술은 객관화된 교육이자 교육의 결과물임을 논의한다. 기술은 인간 현존재의 불가피한 형성과 매개의 계기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실천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교육은 기술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결론에서 기술과 교육의 내재적 관계가 기술에 대한 교육학적 사유에 줄 수 있는 함의를 현재에 대한 비판, 기술과 교육 개념의 재검토와 교육 비판의 조건으로서 기술화 그리고 휴머니즘적 교육의 쉼 없는 부정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edagogical discussions of technology can limit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echnology and education by confining both only to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itical theory of Horkheimer and Adorno; this theory reflects on the fundamental dilemma of education and bourgeois culture that divides culture into a dichotomous structure of means and ends.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s and ends which is presented in Horkheimer’s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focusing on Rohbeck’s analysis of instrumental reason. Next, Chapter 3 explores Adorno’s understanding of technology that takes a position of intrinsic criticism, unlike Horkheimer’s thought that is somewhat conciliatory to totality. Notably, beyond the criticism of technology in the cultural industry, in aesthetics, technology is understood as a general concept that mediates the content and materials of artwork.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emphasis on the social properties of technology, and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content. Based on Adorno’s criticism on the theory of Halbbildung,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culture does not mean anything noble that seeks elevation and harmony of human spirit; rather, it is implicated in adapting to the domination of nature in connection with reality. Further, the cultural industry has intensified the educational regression due to half-education. Now, notice here that recognizing the intertwined culture and technology requires more sensitive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internal debates about education itself. Subsequently, Chapter 4 posits that technology is not completely different from education; education is objectified within technology; technology is objectified education and the product of education. Then, technology can be understood as a social practice in that it contains an opportunity for the inevitable formation and mediation of Dasein (human existence). In this sense, education has technical properti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education for pedagogical thoughts about technology. This discussion centers on the criticism of the present; a review of technology and education concepts; technologization as conditions to criticize education; and a constant denial of humanist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수단과 목적의 관계
Ⅲ. 문화와 기술의 거짓 대립
Ⅳ. 기술과 교육의 내재적 관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은영(Hong, Eun-Young). (2022).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본 기술과 교육의 관계. 교육의 이론과 실천, 27 (1), 71-96

MLA

홍은영(Hong, Eun-Young).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본 기술과 교육의 관계." 교육의 이론과 실천, 27.1(2022): 7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