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도성 묘역의 비교 고찰

이용수 329

영문명
Comparative Study on Backje Capital`s Cemetery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박순발(Park Soonbarl)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66집, 21~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25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백제를 비롯한 한반도 고대 도성 묘역의 비교검토를 위해 도성 묘역을 유형 분류하면 3개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1유형은 통치자집단 묘역인 공묘(公墓)와 일반민 묘역인 방묘(邦墓)로 분화되어 있으나 각 묘역 내에는 가족 단위와 같은 구분이 없는 족장(族葬) 형태로 되어 있다. 2유형은 공묘역이 왕묘역과 귀족묘역으로 세분되었지만 각 묘역 내 분묘배치는 여전히 족장 형태인 것을 말한다. 3유형은 왕묘역이 분화되어 개별 왕릉으로 조성되고, 그 밖의 사회 구성원의 무덤은 계층별로 묘역을 달리한다. 또한 각 묘역 내에서 가족단위로 분묘들이 세분되는 가족장(家族葬) 형태로 등장한다. 백제 도성 묘역은 한성기이래 중심으로부터 1~5km 이내에 왕묘역을 비롯한 복수의 묘역이 등장하였다. 한성기 전 기간에 걸쳐 분묘가 조성된 석촌동 · 가락동 고분군은 당초 지배자집단과 일반민의 분묘가 혼재하다가 4세기 후반 이후 왕묘가 현저한 입지에 집중됨으로써 1유형으로 발전하였다. 감일동 고분군으로 대표되는 귀족 혹은 관료계층 묘역의 등장으로 2유형으로 발전하였고 이는 이후 웅진기·사비기에도 지속된다. 왕묘역을 도성의 중심지로부터 거리를 기준으로 보면 1~5km 이내에 배치된`근린밀집형(近隣密集型)`과 10~20km 정도 떨어져 개별 왕릉 단위로 분산 배치된`교외분산형(郊外分散型)`으로 나눌 수 있다. 백제 왕묘역은 한성기이래 시종 근린밀집형에 해당된다. 이는 427년 평양천도 이후 교외분산형이 등장한 고구려와 대조적이다. 신라는 삼국시기에는 근린밀집형이었으나 7세기 말경 교외분산형으로 전환된다. 교외분산형은 중앙집권력의 확대(擴大)를 배경으로 한 왕기제(王畿制)와 밀접한 상관성을 배제 하기 어렵다.

영문 초록

Korean peninsular ancient state`s capital cemetery is to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 by the social status complexity. 1 type cemetery is composed of both ruling class`s grave area and ruled class`s one, in which each grave area is not found such family burial ground department. 2 type is the cemetery in which ruling class`s burial area is further divided into royal tomb area and the rest noble grave area. 3 type is composed of multiple grave area that each grave ground consists of people with same social status. Especially, royal cemetery is fully separated into individual king`s tomb. Other class`s cemetery is also departed to each family grave ground. Backje(百濟) capital`s cemetery had been located within 1~5km from city center. The cemetery of the first period called `Hansung period`is `Seokchon dong and Garak dong old cemetery`where is assumed to be composed of both ruling class and the ruled. But in the second half of 4th century had appeared royal tomb area in `Seokchon dong and Garak dong old cemetery`, and another cemetery called `Gamil dong old cemetery` which is supposed to be aristocrat or bureaucrat`s family grave ground also newly turned up. The appearance of royal tomb area in `Seokchon dong and Garak dong old cemetery`means the presence of 1 type cemetery. And`Gamil dong old cemetery`conforms to 2 type cemetery. Henceforth this type cemetery continues to the last time of Backje(660A.D). After the appearance of 2 type capital cemetery system is also to be classifed the royal tomb cemetery into two types. One is `Near centered`type that royal tomb area located in 1~5km to capital center or city wall, and clumped comparatively small area. The other is`Suburb scattered`type that individual royal tomb is placed in 10~20km distant capital suburb region. While Backje had been consistently into`Near centered`type, Koguryo(高句麗) had made transition from`Near centered`type to Suburb scattered`type by 427A.D. when she moved capital from Jian(集安) to Pyongyang(平壤). Shilla(新羅)`s royal cemetery also changed into Suburb scattered`type after unified three kingdoms c.a. late 7th century. It is supposed to the adoption of Suburb scattered`type`being closely related to state`s centralizing power growth.

목차

I. 머리말
II. 백제 도성의 묘역
III. 한국 고대 도성 묘역의 유형
I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발(Park Soonbarl). (2017).백제 도성 묘역의 비교 고찰. 백제연구, 66 (1), 21-43

MLA

박순발(Park Soonbarl). "백제 도성 묘역의 비교 고찰." 백제연구, 66.1(2017): 2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