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有孔廣口小壺 ․ 筒形器臺 新論

이용수 183

영문명
A New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Jar With Hole and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 A New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Jar With Hole and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김길식(Kim Gilsik)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66집, 135~17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25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4~6세기 영산강유역과 가야남부를 중심으로 출토되는 특징적인 토기인 유공광구소호(有孔廣口小壺)는 祭儀 時에 술을 따르는 주기(注器)로 인식해 왔다. 그 원류는 일본 고분시대`はそう`에서 구하거나, 백제에 수입되어 사용되던 중국 兩晋代의 계수호(鷄首壺)에서 구하였다. 백제와 가야권역에서 출토되는 통형기대는 단순한 그릇받침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두 토기의 本領인 祭器 기능에 천착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못한 나머지 이 토기의 용도·기능과 그 사회 사상적 의미 파악에 태생적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유공광구소호는 적은 용량의 동체부, 正置가 어려운 둥근 바닥, 과장된 구경부와 장식, 無把手 등 따르는 주기로서 부적합한 구조이다. 백제와 가야지역의 핵심 祭器인 호부통형기대(壺附筒形器臺) 상부에 붙은 壺와 같을 뿐만 아니라, 중국 後漢代∼兩晋代에 유행하였던 陶器 · 靑瓷罐에 붙은 小壺, 일본 고분시대`はそう`와 裝飾附須惠器에 붙은 小壺와도 같아 그 용도와 기능, 계통이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백제와 가야 통형기대는 수발부통형기대(受鉢附筒形器臺)와 상부에 유공광구소호 · 장경소호 등이 올려진 형태인 호부통형기대 등 두 유형이 있다. 전자는 분리형, 후자는 일체형으로 사용 방법에 차이가 있으나, 같은 용도 · 기능을 가진 祭器이다. 특히 완성 형태의 祭器인 호부통형기대와 유공광구소호는 다른 모습이지만, 유공광구소호를 공유하고 있어 같은 용도와 기능을 가진 祭器임이 논증되었다. 이 두 기종의 핵심 요소인 유공광구소호의 원류는 당시 백제와 밀접하게 교류했던 중국 三國~兩晉代 호족 무덤에 부장된, 이른바 魂甁 · 神享 · 穀倉罐 등으로 불리는 陶器罐 · 靑瓷罐에서 구할 수 있으며, 도교적 제의관념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 기물에 부착된 장경소호 또는 유공광구소호는 백제 · 가야 · 영산강유역의 호부통형기대의 호형부와 유공광구소호와 같다. 이로써 백제와 영산강유역, 가야권역에 공통적이면서도 배타적으로 분포하는 유공광구소호와 통형기대는 각종 제의에 사용된 핵심 祭器로서, 제의 대상인 亡者의 魂靈 또는 (鬼)神이 들어와 안거하는`憑幾` 이자 神主단지로 파악되었다. 그런데 백제권역에서는 두 유형의 통형기대 모두가 사용된 제의형태에서 한성기 후반~웅진기를 거치면서 호부통형기대 중심의 제의형태로 수렴되어 갔으며, 백제와 인접한 대가야권역에서는 백제의 영향으로 호부통형기대를 사용하는 제의 형태였지만, 영산강유역과 접경한 가야남부에서는 수발부통형기대와 유공광구소호가 조합된 제의형태였다. 영산강유역은 발형기대만 확인 될 뿐, 통형기대는 全無하여 다른 제의형태가 상정되었다. 이와 같이 각 지역 간에 祭器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함께 나타나는 것은 백제 · 영산강유역 · 대가야 · 소가야권역이 유사하면서도 독자적인 제의권을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이해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e use and function of jar air hole and cylindrical-shaped pottery stand that are excavated throughout the 4C~6C Baekje and Youngsanriver basin area. It also tries to discover the backgrounds of rituals related to the use of the potter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jar with hole is a ceremonial pottery, thorough which the spirit comes in and goes out at the moment of ritual rather than a kettle for carrying alcohol.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at the same time, carries the same use and function as jar with hole, rather than being used as a prop that supports the container. These potteri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celadon porcelain jar, popular in western and eastern Jin period in ancent China, and were adapted throughout 4C~6C Baekje and Youngsanriver basin area. The ancient Chinese celadon porcelain jar carried the same ritual function as the two potteries previouly discussed. The “Haso-u(はそう)”,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and decorative stoneware in ancient Japan during the Kohun period in ancient Japan, are all in the same shape while they possess the same use and function. The two potteries reflect the Taoistic ritual idea popular in the corresponding era. There are two types of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were used in the rituals held in the dominions of Baekje, either having the holed jar or not. However, jar with hole is not found by itself. Meanwhile, Daegaya, which was adjacent to and influenced by Baekje dominion, thus used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with a holed jar. On the other hand, Sogaya, which was close to Youngsanriver basin, had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with no holed jar, but the jar with hole was put on top of it. No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is found throughout Youngsanriver basin, while only jar with hole is found. On the whole, ritual potteries of each region show commonalities as well as differences. This implies that Baekje, Youngsanriver basin, Daegaya, and Sogaya all shared similar ritual culture, but each formed distinct ancestral rites area at the same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有孔廣口小壺 ․ 筒形器臺의 用度와 機能
Ⅲ. 有孔廣口小壺 ․ 筒形器臺의 原流
Ⅳ. 有孔廣口小壺 ․ 筒形器臺 祭儀에 담긴 社會 思想的 意味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길식(Kim Gilsik). (2017).有孔廣口小壺 ․ 筒形器臺 新論. 백제연구, 66 (1), 135-170

MLA

김길식(Kim Gilsik). "有孔廣口小壺 ․ 筒形器臺 新論." 백제연구, 66.1(2017): 135-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