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馬韓(마한),百濟地域(백제지역) 出土(출토) 炊事容器(취사용기) 變遷考(변천고)

이용수 601

영문명
Development of Cookery Tools excavated in Mahan and Baekje Areas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土田純子(Tsuchida Junko)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58집, 151~18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25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백제토기와 공반된 중국·가야·신라·왜의 유물을 활용하여 필자가 수립했던 연대관 등을 통해 마한·백제지역 출토 취사용기의 변천 양상을 재검토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고의 분석 대상인 심발형토기, 장란형토기, 시루를 한성, 중서부 북부지역(현 경기도), 중서부 중부지역(현 충청북도와 충청남도의 일부), 중서부 남부지역(현 충청남도 일부와 전라북도의 일부)별로 나눈 뒤, 다시 타날문 별로 백제가 존속한 전 기간 동안의 변천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심발형토기를 살펴보면, 구경에 비해 저경이 좁은 기형에서 구경과 저경의 차이가 사라지고 저부가 상대적으로 넓고 안정된 기형으로 변화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형에서 소형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자비용기의 소형화는 음식 조리법, 재료, 식사 방법 등 식생활의 변화나, 주거지의 소형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장란형토기는 동체부 최대경의 위치가 상위에서 중위로 이동하였고, 저부형태는 첨저에서 원저로, 기고는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변화하였다. 시루는 대체로 저부형태가 원저에서 평저로 변화하였고, 증기공의 형태가 (불)규칙적으로 배치된 원공에서 중앙에 원형 1개를 중심으로 주변에 다각형을 배치한 형태로, 파수형태는 봉형 → 우각형 → 대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파수의 천공형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천공에서 파수의 측면을 짼 것으로 변화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타날문의 종류가 기형과 상관관계에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타날문의 차이와 기형의 관계는 백제의 영역확대 과정에 따라 격자문계의 기형이 승문계화 되면서 점차 생산되지 않게 된다. 끝으로 백제의 영역확대 과정에 대해서도 진일보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즉, 각 지역에서 승문계 취사용기가 출현하는 것은 한성으로부터의 거리와 함께 교통상의 요충지나 중요 거점 등 입지와 더욱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 aspect of cookery tools which were excavated in Mahan and Baekje areas through the chronological perspective established by the author, along with exploiting the relics of China, Gaya, Silla, and Japan which were associated with Baekje pottery. In specific, the targets of analysis-deep bowls shaped pottery, long egg-shaped pottery, and steamer-were classified based on the location of areas such as Seoul area, northern part of the middle western (currently, Gyeonggi-do), middle part of the middle western (currently, Chungcheongbuk-do and part of Chungcheongnam-do), and southern part of the middle western (currently, part of Chungcheongnam-do and part of Jeollabuk-do). After the classification, the change aspect of the whole period of Baekje was investigated based on beating pattern.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a deep bowls shaped pottery, the difference between rim diameter and base diameter disappeared; particularly among the form which had a narrow base diameter rather than a rim diameter. Also, the base changed into a relatively spacious and stable form and the size of it changed from a large one into a small one as time passed. This change for small sized cookery tools may indicate that there were eating pattern changes such as recipe, cooking material, way of dining, and etc. and downsized dwelling. In addition, the location of maximum diameter of the body in a long egg-shaped pottery changed from the top to medium of the body. Also, base form changed from a sharp bottom into a round one; height changed from high one into low one. Finally, the base form of a steamer changed generally from round bottom into flat bottom. In specific, the shape of knobs of a steamer changed from bar-shaped knobs to cow`s horn-shaped knobs, and finally to band-shaped knobs with a pattern which had one circle located in the center and had polygon surround the circle in steam holes where the shape of steam holes were irregularly placed. Also, the figure of hole from knobs had changed from holes with no drilling or pierced into holes cut side of the knobs as time pas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proved that it was types of beating pattern that were correlated with form. However, this difference shown in beating pattern and form was discontinue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Baekje area as the form of Lattice Design changed into mat impression design. To concl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draw a great step forward in reference to the process of territory expansion of Baekje area, suggest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existence of cookery tools with mat impression design had more relationship with location including being an important traffic center and a key position as well as the distance from Seoul area.

목차

Ⅰ. 머리말
Ⅱ. 취사용기의 변천
Ⅲ.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土田純子(Tsuchida Junko). (2013).馬韓(마한),百濟地域(백제지역) 出土(출토) 炊事容器(취사용기) 變遷考(변천고). 백제연구, 58 (1), 151-181

MLA

土田純子(Tsuchida Junko). "馬韓(마한),百濟地域(백제지역) 出土(출토) 炊事容器(취사용기) 變遷考(변천고)." 백제연구, 58.1(2013): 151-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