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풍납토성 출토 大夫 銘에 대하여

이용수 79

영문명
Daeboo Inscription from the Pungnab Earthen Wall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문동석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백제연구 제36집, 49~6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8.25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99년 9월 이후 한신대학교 박물관은 풍납토성 내부의 중앙부에 해방되는 경당지구를 발굴 조사하였다 이곳에 대한 발굴조사에서 한성 백제의 문화를 규명하는 데에 필요한 많은 자료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특히 국내외 사서에서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던 관직명인 大夫 가 새겨진 토기가 발견됨으로써 백제의 지배구조에 하나의 문제점을 던졌다. 중국에서는 봉건제가 시행되고, 漢代 이후 관료제가 확립되는 과정에서 대부의 성격이 변화하였다. 그리고 漢代 대부는 宮內官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일본에서의 大夫는 관료제도의 발전과 더불어 설치되고 있었다. 풍납토성 경당연립지구에서 발견된 大夫는 국내외 사서에 전혀 등장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먼저 경당지구에서 발견된 대부를 하나의 관직으로 볼 수 있는지, 이와 유사한 사례는 없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창녕 계성동 고분군과 동해 추암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大干 명이 신라의 관등 표기 방식의 영향 아래 사용된 外位의 異稱일 가능성이 높은 점을 볼 때 경당지구의 대부도 관직명으로 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백제에서 대부라는 관직명이 사용된 시기는 5세기 중 후반을 넘지 않는 것으로 보았다. 왜냐하면 대부명이 발견된 9호 유구는 수 차례에 걸쳐 유물이 퇴적된 양상인데 각 충마다의 시기차는 그리 크지 않으며 출토된 유물은 5세기 중 후반대에 해당하기 대문이다. 5세기 중 후반대는 백제의 개로왕대에 해당된다. 따라서 대부는 개로왕대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던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백제의 大夫는 왕실에서 祭儀라는 특정한 직무를 맡고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개로왕은 체제정비와 함께 그의 권력행사를 합법화하기 위해 이데올로기 측면의 변화를 강화하고 있었다. 개로왕은 부여 멸망 후 백제가 부여의 계승국가라는 인식을 대내외적으로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부여의 시조로서 東明과 백제의 시조 <원문누락>

영문 초록

The museum of Hansin university has made at Keongdang district inside Pungnab Toseong since September, 1999. It was acquired that a lot of information and materials which was necessary for finding out culture of Paekche. Specially, it was found that potter of carving Daeboo named on Paekche s governor. This gave us a big question about system of Paekche governments. So, to solve this question, we are going to check what was Daeboo s role and how his role had changed in China an Japan. Daeboo had changed his rol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bureaucratism since dynasty of HAN after feudalism. in China. And Daeboo in dynasty HAN was the same as Gungna - kwan , meanwhile the one in Japan was established with developing of bureaucratism. Firstly, we have serched that there was a similar case of Daeboo which was found in. Keongdang district because there was no name of Daeboo from Pungnab Toseong in old historical books. By the way, Daeboo was turned out to be governor s name because Daegan excavated from Chanhyeong Gyeosung -- dong and Donghae Chuam - dong tumulus was high possibility of being used as a different name of Yeoi which was influenced by mode of governor s grade in Shila. Second, it was thought that periods of using Daeboo was not after middle of 5 century A.D. bedause No.9 district found was accumulated relics afew times. Time gap of each layer was not big and excavated relic was presumed to be in middle of 5 century A.D. This was in king of Gaero. So, it was thought that Daeboo was used from king of Gaero, for the first time. Finally, it was thought that Daeboo in Paekche had a special responsibility of Jeayi. King of Gaero s ed ideology to ligalize his power and put governments system into good order. He intended to emphasize that Paekche was successed from Buyeo internationally. So, he separated a each founder of Paekche and Buyeo, Onjo and Dongmyung. this distinction from Onjo and Dongmyung caused a lot of changes. this was cue of looking over Daeboo role in Paekche.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과 일본에서의 대부
Ⅲ. 백제에서의 대부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동석. (2002).풍납토성 출토 大夫 銘에 대하여. 백제연구, 36 (1), 49-62

MLA

문동석. "풍납토성 출토 大夫 銘에 대하여." 백제연구, 36.1(2002): 4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