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月坪洞山城 城壁의 築城工程과 變遷過程

이용수 112

영문명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wall of Wolpyeong-Dong Mountain Fortress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최병화(Choi, Byung-Hwa)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37호, 1~3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월평동산성은 6C중엽 이후 축성된 둘레 735m의 백제 석축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성벽은 아래층에 선행하는 한성기(漢城期) 유구과 대규모 성토 구조물이 자리하고, 그 위로 성벽 기저부층이 너비15m, 두께 2m 이상으로 넓고, 두껍게 조성되었다. 성벽은 사다리꼴로 안정감 있게 판축되고, 외벽은 다듬은 돌로 석축되었다. 일반적인 백제 석축 성벽으로 보기에는 특이한 구조이다. 하지만 이 같은 성벽 구조는 주목받지 못하였다. 현행 연구는 성벽 기저부층 출토의 고구려 토기와 인접한 월평동유적의 고구려 토기, 그리고 목책·석축시설이 고구려 방어시설로 이해되면서 고구려의 대전지역 진출 연구에 주목되었다. 정작 월평동산성 성벽은 신라와의 대립이 집중되는 6C중엽 이후 축성된 것으로 이해되면서 등한시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성벽 구조에 집중하여 층위·유물·축성현황을 검토하였다. 결과 성벽은 선행유구 단계부터 토축·석축성벽까지 3단계의 축성변화가 진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1단계 선행유구는 계단식 생토굴착, 경사면에 대규모 성토 구조물(너비 8.4m, 높이 3m)축조 등 토루형태 방어시설임을 확인하였다. 출토유물을 볼 때, 한성기에 조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2단계는 판축토루이다. 1단계 유구를 복토하면서 넓은 범위에 기저부층 조성후, 축성하였다. 풍납토성과 유사한 백제의 특징적인 축성구조와 하층 출토의 한성말기 백제토기와 고구려토기를 볼 때, 5C말(490) 직후 백제에 의해 축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3단계는 석축성벽이다. 판축토루 외면과 외부 보강토 일부 굴착 후, 다듬은 돌로 쌓았다. 출토유물은 없지만 최종단계로 사비기에는 축성·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 같은 현황을 볼 때 월평동산성은 한성기부터 월평동유적과 그 일원을 관할하던 거점지였고, 5C말엽 대전까지 진출한 고구려에게도 중요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월평동산성은 사비기 현성(縣城 : 奴斯只縣)급 임에도 방성(方城)급 규모인 것은 한성기부터 대전지역 거점성이었지만, 방-군-성체제의 축성원리가 확립된 사비기에는 신라와 대치 국면에 따라 중심 역할을 우술군(雨述郡 : 연축동산성)으로 이동면서, 월평동산성은 노사지현(奴斯只縣)에 편제됐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이상 연구를 통해 월평동산성은 한성~사비시기 대전지역을 관할하던 백제 城址였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 같은 연구는 문헌사료 부족의 고대사 연구에 해당 유적의 자세한 구조분석이 역사적 환경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는 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월평동산성에 대한 체계적인연구와 선행유구에 대한 발굴이 이루어져 그동안 알지 못했던 역사성이 파악되기를 기대하겠다.

영문 초록

Wolpyeong Dong Mountain Fortress is a stone fortress in Baekje(百濟) with a circumference of 735m, built after the middle of 6C. On the lower floor of the fortress wall, Hanseong Period(漢城期) pits and large-scale soil steaming structures were identified. Above it, the base layer of the wall was widely constructed with a width of 15m and a thickness of 2m. The walls are trapezoidal and are stably made of soil(板築), The outer wall was stone-stacked with trimmed stone. It is a structure that is different from general Baekje stone walls. The study did not receive attention despite its unique wall structure. Rather, Goguryeo(高句麗) earthenware from Wolpyeong-dong ruins adjacent to Goguryeo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base layer of the wall, and wooden and stone construction facilities were understood as Goguryeo defense facilities and focused on Goguryeo s entry into Daejeon. It is understood that the wall of Wolpyeong Dong mountain Fortress was built after the middle of 6C, when confrontation with Silla(新羅) was concentrated, and studies on the structure, construction process, and nature were neglected.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layer, structure, and relics of the fortress wall, an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struction change of the fortress wall in three stages from the preceding remains stage to the soil(土築) and stone(石築) walls stage. The first stage of the preceding remains are Toru(土壘)-type defense facilities such as terraced raw earth excavation and large-scale soil-strengthening structures (width 8.4m, height 3m) on the slope. When looking at the excavated artifacts, it is believed that they were built during the Hanseong Period. The second stage is the Panchuk-Toru(板築土壘). While covering the first-stage remains, a base layer was created in a wide range inside and outside the castle, and was built on the upper surface. When looking at Goguryeo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base layer, it is believed that it was built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5C. The third stage is the stone wall.After excav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shaft toru and some of the outer reinforced soil, it was stacked with trimmed stones. Although there are no excavated artifacts, it is believed that they were built and used for Sabi Period(泗沘期) as the final stage. This current situation shows that Wolpyeong-dong Mountain Fortress was a base site in charge of the ruins of Wolpyeong-dong from Hanseong Period to its area, and it was also important for Goguryeo, which advanced to Daejeon at the end of the 5C. In addition, Wolpyeong-dong Mountain Fortress was the base of the Daejeon area from the Hanseong Period, even though it was a prefectural fortress in the Sabi Period bang(方)-gun(郡)-seong(城) system, but Sabi Period, which established the construction principle of the Bang(方)-gun(郡)-seong(城) system, moved to Usul-gun(雨述郡: Yeonchukdong Mountain Fortress), It is understood that Wolpyeong-dong Mountain Fortress was organized in Noh-Sa-ji-hyeon(奴斯 只縣).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Wolpyeong-dong Mountain Fortress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Baekje fortress that had jurisdiction over Daejeon during the Hanseong~Sabi period. Such research is understood as an example showing that detailed structural analysis of the ruins is a very important basis for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environment in ancient history research that lacks literature In the future, we hope that systematic research on Wolpyeong-dong Mountain Fortress and excavation of prior remains will b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historicality that we have not known so far.

목차

Ⅰ. 머리말
Ⅱ. 월평동산성 성벽의 특이점과 선행유구 검토
Ⅲ. 성벽의 구조별 조성방식에 대한 재검토
Ⅳ. 성벽의 축성공정과 변천과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병화(Choi, Byung-Hwa). (2022).月坪洞山城 城壁의 築城工程과 變遷過程. 중앙고고연구, (), 1-36

MLA

최병화(Choi, Byung-Hwa). "月坪洞山城 城壁의 築城工程과 變遷過程." 중앙고고연구, (2022): 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