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공 윤주일의『불교입교문답』에 나타난 사상 연구

이용수 18

영문명
A Study on Hyungong Yoon Ju-il’s Thoughts in Questions and Answers for Introduction to Buddhism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이병욱(Lee Byung Wook)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62輯, 75~11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현공 윤주일의 『불교입교문답』의 내용을 4가지 사항으로 검토한다. 2장에서는 현공이 유, 불, 도 삼교의 동일점과 차이점을 주장했지만, 그렇지만 조선조 500년 동안 유교의 역할에 대해서 비판적이었다는 점을 밝힌다. 3장에서는 현공이 자력신앙과 타력신앙의 관점에서 불교를 바라본 내용을 소개한다. 불교는 자력신앙과 타력신앙의 요소를 겸비하고 있고, 또 타력신앙의 관점에서도 불교의 특색이 있다. 4장에서는 현공이 불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비판적 견해에 대해 반론하고, ‘생산적 불교’와 ‘대중불교’를 계승한 점을 검토한다. 불교가 경제발전에 방해가 된다는 주장에 대해 반론하고, 또 불교가 염세의 종교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론한다. 그리고 현공은 일제강점기 불교개혁론에서 주장한 ‘생산적 불교’와 ‘대중불교’를 수용하고, 그것을 조금 더 진전된 형태로 바꾼다. 5장에서는 현공이 ‘일상생활이 곧 수행’이라는 관점을 주장한 것을 알아본다. 이는 해탈과 열반이 출세간의 영역에 있는 것이 아니고, 일상생활 속에서 증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현공은 세속적인 사업을 한다고 해도, 남을 구제하겠다는 정신으로 한다면 그것은 불교의 수행에 포함된다고 한다. 그리고 현공은 ‘일상생활이 곧 수행’이라는 관점을 구체화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으로 자신의 수행경지가 어느 정도 향상되었는지 점검하는 내용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review the contents of Questions and Answers for Introduction to Buddhism by Hyungong Yoon Ju-il in four ways. In Chapter 2, it is revealed that Hyeongong argued fo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ut was critical of the role of Confucianism during the 500 years of the Joseon Dynasty. Chapter 3 introduces Hyeongong’s view of Buddh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faith in self-power and faith in other-power. Buddhism has the elements of faith in self-power and faith in other-power, and also has a characteristic of Buddhism in terms of faith in other-power. In Chapter 4, Hyeongong opposes critical views on the social function of Buddhism and examines his succession of ‘productive Buddhism’ and ‘popular Buddhism’. He opposes the claim that Buddhism is an obstacl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also opposes the claim that Buddhism is a religion of pessimism. And Hyeongong accepts ‘productive Buddhism’ and ‘popular Buddhism’ as claimed by the Buddhist reform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hanges them into a more advanced form. Chapter 5 examines Hyeongong’s insistence on the view that ‘everyday life is the practice’. This means that liberation and nirvāṇa are not in the realm of supramundane, but can be attained in daily life. Therefore, Hyeongong insists that even though man is engaged in secular business, it is included in the practice of Buddhism if man intends to help others. In addition, Hyeongong presents a way to materialize the viewpoint that ‘everyday life is practice’, and also presents the contents of checking to what extent one’s performance level has improved with this method.

목차

Ⅰ. 서론
Ⅱ. 유, 불, 도 삼교에 대한 견해
Ⅲ. 자력신앙과 타력신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불교
Ⅳ. 불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반론함과 대중불교의 계승
Ⅴ. ‘일상생활이 곧 수행’이라는 관점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욱(Lee Byung Wook). (2022).현공 윤주일의『불교입교문답』에 나타난 사상 연구. 보조사상, 62 (1), 75-111

MLA

이병욱(Lee Byung Wook). "현공 윤주일의『불교입교문답』에 나타난 사상 연구." 보조사상, 62.1(2022): 75-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