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Housing Preferences in the Pandemic Era

이용수 3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부동산법학회
저자명
김기승(Gi-Seoung Kim) 김선주(Sun-Ju Kim)
간행물 정보
『부동산법학』부동산법학 제25집 제4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팬데믹시대에 가속화된 언택트 생활방식으로 주택과 주거에 대한 인식변화를 분석하여 주택정책과 주택공급방식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팬데믹시대의 주거에 대한 인식의 변화(주택에서 가장 필요한 설비・시설, 선호하는 주거지역과 주택유형)는 연령, 거주 지역, 가구원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것이라는 연구문제 분석방법은 ANOVA 분석과 사후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팬데믹시대 언택트 생활방식의 만족도는 평균 6.14점(10점 만점)이지만, 재택근무에 부적당한 주택구조와 부족한 주거환경시설과 설비, 답답하고 협소한 주거공간과 구조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팬데믹시대 주택의 필요 시설・설비는 벽간 층간소음 차단, 5G환경, 테라스, 자연환기구조, 환기시스템, 정원・공원 등이다. 선호 주거지역은 서울이 가장 높았지만, 수도권과 기타지역에 대한 선호도도 약 30% 수준으로 나타났다. 선호 주택유형은 테라스 아파트와 단독주택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령별, 거주 지역별, 가구원수별 주거인식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팬데믹시대 주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반영한 주거정책이 필요하며, 패널자료의 구축을 통해 후속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mplications for housing policies and housing supply method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housing in the “untact” (doing things without direct contact with others) lifestyle that has accelerated in the pandemic era.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 hoc analysis of the research problem were conducted. The problem addressed is tha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housing in the pandemic era (the most necessary facilities, preferred residential area, and housing type) differ depending on age, residential area, and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the untact lifestyle during the pandemic is an average of 6.14 points (out of 10), but housing structures are inadequate for telecommuting, provide insufficient residential environment facilities, and feature stuffy and narrow living spaces and structures. Second, the necessary facilities and facilities for houses in the pandemic era are interwall noise blocking, a 5G environment, terraces,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s, ventilation systems, gardens and parks, etc. Regarding the preferred residential area in Korea, Seoul had the highest preference, but the preference for metropolitan and other areas was also found to be approximately 30%. Regarding the preferred housing type, a preference for terraced apartments and detached houses was found to be high.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housing by age, region of residence, and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 housing policy that reflects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 of housing in the pandemic era is needed, and follow-up research must be continu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panel data on untact housing and housing percep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Analysis method
Ⅳ. Analysis result
Ⅴ.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승(Gi-Seoung Kim),김선주(Sun-Ju Kim). (2021).Housing Preferences in the Pandemic Era. 부동산법학, 25 (4), 1-25

MLA

김기승(Gi-Seoung Kim),김선주(Sun-Ju Kim). "Housing Preferences in the Pandemic Era." 부동산법학, 25.4(2021):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