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AC 디스플레이 유형이 인지-의사소통장애 환자의 메시지 산출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및 읽기 능력과의 관계

이용수 275

영문명
The Effect of AAC Display Types on Message Produ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Reading Ability in Patients with Cognitive-Communication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민선(Minseon Kim) 신상은(Sangeun Shin)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7. no.1, 107~11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의료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의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입원 중인 인지-의사소통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AAC 디스플레이 유형이 메시지 산출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읽기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뇌혈관질환으로 인해 인지-의사소통장애 진단을 받은 재활병원 입원 환자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3가지 유형의 디스플레이 조건(글자 기반 VSD, 혼합형(글자+그림상징) VSD, 그림상징 기반 GRID)에서 메시지산출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정확도와 반응시간이 측정되었다. 결과: 그림상징 기반 GRID에서 글자 기반 VSD보다 유의하게 높은 정반응과 짧은 반응시간이 나타났으며, 그림상징 기반 GRID와 혼합형 VSD 간에는 두 측정변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환자의 읽기과제 점수는 VSD 유형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의료 상황에서 환자가 메시지를 산출할 때 VSD 유형의 AAC 디스플레이가 그림상징 기반 GRID에 비해서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더 높이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환자의 읽기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글자 기반 VSD의 효과를 주장한 선행연구들과 배치되는 것으로, 읽기 능력이 손상된 환자에게는 각 메시지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개별 그림 상징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can be applied in medical setting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AC display types on message production ability in patients with cognitive-communication disorders who are hospitaliz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patients’ reading abilities.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cerebral vascular accid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ognitive-communication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ssage production abilities were examined by measuring accuracy scores and response times under three AAC display conditions: (1) text-based visual scene display (VSD), (2) mixed type (text and graphic symbol-based) of VSD, and (3) graphic symbol-based GRID. Results: The graphic symbol-based GRID showed significantly high accuracy scores and short response time compared to the text-based VS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aphic symbol-based GRID and the mixed type of VSD in terms of accuracy scores and response time. In addition,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VSD type of display and the reading task scores were found.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VSD types of AAC display do not enhance the communication efficacy more than the graphic symbol-based GRID in medical settings. It is at odds with a previous study that claims the effectiveness of text-based VSD without considering patients’ reading 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ther than perceiving VSD itself to be more effective than other display types, it is important to provide individual graphic symbols so that reading impaired patients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each messag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선(Minseon Kim),신상은(Sangeun Shin). (2022).AAC 디스플레이 유형이 인지-의사소통장애 환자의 메시지 산출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및 읽기 능력과의 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7 (1), 107-118

MLA

김민선(Minseon Kim),신상은(Sangeun Shin). "AAC 디스플레이 유형이 인지-의사소통장애 환자의 메시지 산출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및 읽기 능력과의 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7.1(2022): 107-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