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와 근육긴장성 발성장애의 감별에 있어 물저항빨대발성의 유용성

이용수 177

영문명
Usefulness of Water-Resistance Straw Phonation in Discrimination of Adductor-Type Spasmodic Dysphonia and Muscle Tension Dysphoni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지성(Ji-Sung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7. no.1, 212~219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내전형 연축성 장애(AdSD)와 근육긴장성 발성장애(MTD)는 유사한 음성학적 증상을 보이지만, 그 원인과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에 두 질환의 적절한 치료를 위해 정확한 감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두 질환의 감별을 위한 진단적 치료로서 물저항빨대발성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AdSD와 MTD를 대상으로 물저항빨대발성을 실시하고 수행 전과 후의 음성을 비교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AdSD로 진단받은 성인 9명과 MTD로 진단받은 성인 18명이다. AdSD 집단은 남 2명, 여 7명으로 평균연령은 30.01세이며, MTD 집단은 남 4명, 여 14명, 평균연령은 31.03세이다. 대상자들은 진단적 치료의 절차로 물저항빨대발성(90초 소요)을 실시하였다. 진단적 치료에 따른 음성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 전과 후의 음향학적 분석과 청지각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AdSD 집단은 물저항빨대발성을 이용한 진단적 치료 수행 전과 후 유의한 음성변화가 없었다. 반면, MTD 집단은 Jitter (p=.003), PPQ (p=.007), vF0 (p=.004), Shimmer (p=.010), APQ (p=.012), vAm (p=.005)과 청지각적 음성의 전반적 심각도(p=.007)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물저항빨대발성 이후 즉각적인 음성개선은 후두 과긴장이 이완된 결과이다. 진단적 치료 이후 음성개선이 나타나는 경우는 후두 과긴장이 이완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MTD의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반면, 음성문제의 개선이 없거나 심해지는 경우는 AdSD로 확증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 MTD가 아닐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물저항빨대발성을 이용한 진단적 치료는 두 질환의 감별을 위한 음성평가 방법 중 하나로 다른 검사들과 함께 음성평가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lthough Adductor-type spasmodic dysphonia (AdSD) and Muscle tension dysphonia (MTD) show similar phonetic symptoms, the causes and treatment methods are different. Therefore, discrimination is necessary for the proper treatment of the two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Water-resistance straw phonation (WSP) as a diagnostic therapy for the differentiation of AdSD and MTD. To that end, Both patients with AdSD and MTD performed WSP, and their voices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diagnostic therapy. Methods: A total of 27 (18 MTD, 9 AdSD)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TD group (4 male, 14 female) mean age was 30.01 years and the AdSD (2 male, 7 female) group mean age was 31.03. Both groups were treated with diagnostic therapy using WSP which took approximately 90 seconds. The acoustic analysis and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were completed after diagnostic therapy. Results: The MT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Jitter Percent (Jitter) (p= .003), Pitch Perturbation Quotient (PPQ) (p= .007), Fundamental Frequency Variation (vF0) (p= .004), Shimmer Percent (Shimmer) (p= .010), Amplitude Perturbation Quotient (APQ) (p= .012), Peak to Peak Amplitude Variation (vAm) (p= .005) and auditory–perceptual grade (p= .007). However, the AdSD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variables after performing the WSP. Conclusion: WSP is one of the methods that relieve laryngeal hypertension. In this study, the voice improvement of the MTD group after diagnostic therapy using WSP meant that the laryngeal hypertension was relieved. This change indicates a high probability of MTD as opposed to AdSD. Whereas, no improvement or worsening of the voice problem suggests neither the probability of MTD nor no confirmation of AdSD. Therefore, a diagnostic therapy using WSP may be useful as one of the evaluation methods for discrimination between AdSD and MT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성(Ji-Sung Kim). (2022).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와 근육긴장성 발성장애의 감별에 있어 물저항빨대발성의 유용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7 (1), 212-219

MLA

김지성(Ji-Sung Kim).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와 근육긴장성 발성장애의 감별에 있어 물저항빨대발성의 유용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7.1(2022): 212-2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