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와 영유아 간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의 시간적 반응양상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연구

이용수 212

영문명
Temporal Properties of Vocal Turn-Taking between Parents and Young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강은(Gangeun Lee) 이영미(Youngmee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7. no.1, 175~18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부모와 영유아 간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반응은 영유아의 언어 및 정서 발달과 연관되어 있다. 본 연구는 발성지속시간 및 화자 전환 쉼 시간의 측면에서 부모와 영유아 간 발성 차례주고받기의 시간적 반응양상을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방법: 체계적인 문헌고찰 방법에 따라 국내 및 국외 데이터베이스 8개를 대상으로 본 논문의 선정기준을 충족하는 문헌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7개의 문헌이 선정되었으며 해당 문헌의 질적평가와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체계적인 문헌고찰 결과, 선정된 문헌의 비뚤림 위험이 전체적으로 낮았다. 대부분의 문헌의 대상자는 어머니와 영유아였으며, 문헌 모두 생후 12개월이내의 영아가 대상이었다. 메타분석 결과,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 부모의 시간적 반응양상은 영유아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발성지속시간은 영유아보다 유의미하게 길었으나, 부모의 화자 전환 쉼 시간은 영유아의 화자 전환 쉼 시간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논의 및 결론: 체계적인 문헌고찰과 분석을 통해, 영유아는 언어적 경험 부족으로 인해 부모보다 발성지속시간이 적지만 화자 전환 쉼 시간의 규칙을 이미 알고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의 부모와 영유아의 시간적 반응 양상은 일반적인 언어발달 과정을 알려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부모와 의사소통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측면에서의 시간적 반응양상의 차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temporal response characteristics in vocal turn-taking are related to the language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This study identified the temporal response patterns in the vocal turn-taking between parents and infants with typical development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and meta-analysis. Methods: Using eight databas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literatur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s, and Study design (PICOS) criteria. As a result, seven articles which met the inclusive criteria were selecte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The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using Hedges’s g. Results: As a result of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e selected literature had a low risk of bias. In a considerable number of articles, mothers and infants before 12 months of age participated. The duration of parents’ vocalization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infant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witching pause between parents and infant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infants have less duration of vocalization than their parents due to lack of linguistic experience, infants may know the rules of switching pause in verbal communication.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parents and infants with diverse communication disorders such as hearing los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ddition,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assessment and early intervention designed to target parents’ communication behavior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강은(Gangeun Lee),이영미(Youngmee Lee). (2022).부모와 영유아 간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의 시간적 반응양상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7 (1), 175-189

MLA

이강은(Gangeun Lee),이영미(Youngmee Lee). "부모와 영유아 간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의 시간적 반응양상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7.1(2022): 175-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