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논문] 1960년 그림책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형상화 양상

이용수 33

영문명
The author s perception of early picture books and the pattern of their embodiment- Centered on Kang So-chun and Baek Young-soo s Baby Rabbit and Little Snowman
발행기관
근대서지학회
저자명
이은주(Lee, Eun joo)
간행물 정보
『근대서지』제22호, 757~79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복합학 > 문헌정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2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60년 전후 척박하고 혼란한 사회에서 그림책의 자리는 없다시피 했다. 그림책에 대한 인식도 일천하기 그지 없었다. 그러한 시대에 소천과 백영수가 만든 일부 그림책이 실체를 드러냈다. ‘그림 동화집’ 5권 중 1권 『아기 토끼』와 2권 『꼬마 눈사람』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두 책의 서지 정보를 정리했고, 당시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그림책의 자리를 찾아보며 작가들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러한 인식의 결과로 만들어진 두 책의 형상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소천과 백영수는 그림책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다. 소천은 유치원동화를 더 넓은 범주로 보고, 좋은 유치원동화가 만들어지기 위해 우선은 좋은 그림책이 만들어져야 함을 이야기하며 “童話를 童畵화로 그린 그림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또 유치원동화의 글로 “반복되면서도 단순하고 변화하는” 글을 이야기하는데, 이는 그림책의 글과 상통한다. 결국 소천은 그림책의 글이 어떠해야 함을 알며, 그림책이 그림으로 이야기해야 하는 책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백영수는 그림책을 ‘그림이 말의 설명도 아니고 또 말이 그림의 설명도 아닌, 그림과 말이 서로 도와 만들어진 책’이라고 분명히 언급한다. 두 사람은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으로 그림책이 만들어진다고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으로 이들은 지금의 그림책과 비교해도 손색없는 뛰어난 그림책을 생산했다. 소천은 그가 인식한 대로 반복되면서도 단순하고 변화하는 글을 쓰며 그림의 자리를 넉넉히 배려했고, 백영수는 글이 말하지 않는 이야기를 그림으로 보여주었다. 그 결과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으로 풍성한 이야기를 형상화하는 뛰어난 그림책을 생산했다.

영문 초록

In 1960, there was almost no place for picture books in a barren and chaotic society. Th e perception of picture books was also very thin. In such an era, some picture books made by Socheon and Baek Young-soo revealed their true nature. Baby Rabbit and Little Snowman, are the fi rst and second books among the fi ve picture books. In response, this article compiled the bibliography information of the two books and examined the authors perception of picture books by looking for the place of picture books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time. And we looked at the shape of the two books as a result of such recognition. Socheon and Baek Young-soo had a clear perception of picture books. Socheon sees kindergarten fairy tales as a wider category and emphasizes picture books drawn with children s picture by saying that good picture books must be made fi rst in order to make good kindergarten fairy tales. It also talks about repeated, simple, and changing writing in a kindergarten fairy tale, which is in line with the writing in the picture book. In the end, Socheon knew what the writing of the picture book was supposed to be and recognized the responsibility of the picture book to talk about it in pictures. Baek Young-soo clearly refers to the picture book as a book made with the help of pictures and words, not a description of words, but not an explanation of pictures. Th e two were clearly aware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writing and painting created picture books. With this perception, they have produced outstanding picture books compared to current ones. Socheon, as he perceived, wrote simple but changing writings, giving ample consideration to the position of the painting, and Baek Young-soo showed stories that the writing did not tell. As a result, the interaction of writing and painting produced excellent picture books that embody rich stories.

목차

1. 서론
2. 『아기 토끼』과 『꼬마 눈사람』의 서지 정보
3. 60년 전후 그림책과 그림책에 대한 작가의 인식
4. 인식의 형상화 양상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Lee, Eun joo). (2020).[일반논문] 1960년 그림책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형상화 양상. 근대서지, (22), 757-791

MLA

이은주(Lee, Eun joo). "[일반논문] 1960년 그림책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형상화 양상." 근대서지, .22(2020): 757-7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