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물의 이용 양상과 민속적 인식
이용수 142
- 영문명
- Aspects of use of Jejumul and folk perception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강수경(Kang, Soo-Kyoung)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57권, 71~9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제주물의 이용 양상과 민속적 인식에 대해서 다룬다. 여기서 제주물은 상수도 시설 이전 제주 사람들이 이용하였던 물을 통칭한다. 곧 용천수, 봉천수, 우물, 빗물의 활용과 관련 있다. 제주물에 대한 인문적 관점의 연구는 용천수를 중심으로 다소 이루어진 바 있으나 폭넓게 전개되지는 못하였다. 제주물은 제주의 역사와 삶의 원천 이었다. 제주 사람들이 물을 생산하고 관리하며 이용하는 양상은 민속문화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 제주물의 이용 양상과 민속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제주물의 폭넓은 연구를 지향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우선 제주물의 이용 양상에 대해서 용천수, 봉천수, 우물, 빗물 받기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해안에서는 주로 용천수를 중심으로 물의 이용이 이루어지고, 중산 간에서는 봉천수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외에도 가정에 우물을 마련하는 경우도 있었고, 빗물조차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이러한 제주물의 이용 양상을 바탕으로 명칭의 형성, 용도의 구분, 형태와 구조 등의 민속적 인식을 살펴보았다. 제주물은 마을의 지형과 지질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민속지식과 기술을 동원한 총체적인 산물이다. 제주물은 곧 마을의 고유자원이며, 화산섬 제주가 이룩한 물문화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use and folk perception of Jejumul. Here, Jejumul refers to the water that Jeju people used before the water supply facilities. it is related to the use of spring water, Bongcheonsu, well and rainwater. Studies from the humanistic point of view on Jejumul have been conducted centering on spring water, but it has not been widely developed. Jejumul was the source of Jeju’s history and life. The pattern of Jeju people producing, managing and using water is also a folk culture. Therefore, in this paper, I intend to pursue a wide range of research on Jejumul by examining the patterns of usage and folk perceptions of Jejumul. In this paper, first I examined the pattern of usage of Jejumul by dividing it into spring water, Bongcheonsu, well and a collecting rain water. In the coastal areas, water was mainly used with spring water and Bongcheonsu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iddle mountainous area.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where families prepared well and rainwater is even used actively. Based on these usage patterns of Jejumul, I looked at folk perceptions such as the formation of names, classification of uses, forms and structure. Jejumul is overall a comprehensive product with folk knowledge and technolog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topography and geology of the village. Jejumul is a unique resource of the village and a water culture established by Jeju, a volcanic island.
목차
Ⅰ. 머리말
Ⅱ. 제주물의 이용 양상
Ⅲ. 제주물의 민속적 인식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