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자본으로서 아랍 이슬람 지역의 와스타 관행 연구

이용수 37

영문명
A Study of Wasta Practice as Social Capital in the Arab and Islamic Region: A Focus on Transformation and Sustainability
발행기관
한국이슬람학회
저자명
엄익란(Eum, Ikran)
간행물 정보
『한국이슬람학회논총』제32권 1호, 29~6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간’을 뜻하는 ‘와사트(wasat, وسط)’에서 파생된 와스타의 사전적 정의는 ‘중개’를 뜻하지만 오늘날에는 자기 사람을 편애하고 기회를 주어 다른 사람의 기회와 권리를 박탈하는 불공정과 부패와 동의어로 인식되고 있다. 비록 현대사회에서 와스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은 부정적이지만 ‘동전의 양면’처럼 와스타에는 긍정적인 의미도 있다. 특히 전통적인 부족사회에서 와스타의 작동원리 밑바닥에는 믿음과 신뢰가 자리했다. 와스타를 통해 어려움에 처한 이웃의 문제와 갈등을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와스타는 부족민에게 자원을 배분하고, 정부를 대신하여 복지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맥락에 따라 와스타의 의미가 변화한다는 점을 주목하며전통적인 아랍사회에 미덕으로 존재했던 와스타 관행이 현대사회로 진입하면서 어떻게 변용되었는지 추적하고, 향후 와스타가 어떤 방식으로 지속될 것인지, 특히 디지털 시대 와스타의 새로운 역할자로 부상한 젊은 세대와 여성이 어떻게 이를 활용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와스타의 사회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와스타의 작동원리를 사회자본(Social Capital)과 신뢰라는 이론적 틀에서 분석하였으며, 와스타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보다는 사회변동에 따라 와스타가 어떤 의미에서 왜, 그리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 배경 탐색에 주목하였다.

영문 초록

The word wasta, meaning “intermediate,” is derived from the word “wasat,” which means “in between” or “middle.” Wasta is recognized today as being synonymous with injustice and corruption in Arab countries, as it favors people who have connections, while depriving the opportunities and rights of others. However, although wasta is negatively perceived within Arab society, people appear to prefer to utilize it when it is available. Unlike the negative perception of wasta today, it once carried a positive meaning, especially in traditional tribal societies where faith and trust were the basic principles of wasta operation. Wasta was used as a primary means to solve problems and conflicts among tribal members, while keeping one’s face and reputation within the community. In addition, wasta was also used as a method of distributing resources and providing welfare to tribal people. By tracing the transformation of wasta’s social meaning within a specific social context, this study examines how wasta practice, which existed as a virtue in traditional Arab society, has changed today, and how it may develop in the future. Wasta is analyzed within a theoretical framework of social capital and trust. Rather than evaluating its positive or negative meanings, this study focuses upon the background of why and how it works.

목차

Ⅰ. 서론
Ⅱ. 와스타의 사회적 의미와 작동원리 분석
Ⅲ. 시대적 맥락에 따른 와스타의 사회적 인식과 변화
Ⅳ. 와스타의 새로운 역할자 부상과 긍정적인 와스타를 위한 제언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익란(Eum, Ikran). (2022).사회자본으로서 아랍 이슬람 지역의 와스타 관행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32 (1), 29-60

MLA

엄익란(Eum, Ikran). "사회자본으로서 아랍 이슬람 지역의 와스타 관행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32.1(2022): 29-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