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전 페르시아 시문학에 비친 투르크 족의 다중적 이미지 연구

이용수 38

영문명
A Study on the Multiple Images of the Turks in Persian Classical Poetry
발행기관
한국이슬람학회
저자명
신양섭(Shin, Yang-Sup)
간행물 정보
『한국이슬람학회논총』제32권 1호, 209~23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민족 사회에서 다수(majority)와 소수(minority)가 존재하는 것은 당연하다. ‘소수’는 ‘다수’에 의해 차별과 박해의 대상이 되며 그래서 ‘다수’의 공용어(lingua franca)로 표현된 문학에서도 ‘소수’는 멸시와 조롱의 이미지로 표현되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 ‘소수’가 침략자이자 정복자일 때는 상황이 달라진다. 고전 페르시아 시문학에 나타난 투르크 족의 이미지가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 다시 말해, 투르크 족은 역사적으로 이란 사회에서 항상 ‘소수’였지만 “다수’를 정복한 지배자였으며, 이 때문에 투르크 족은 페르시아 문학에서 일반적인 ‘소수’와는 다른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다. 페르시아 문학에서 투르크 족의 이미지는 이율배반적(antinomy) 이미지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 투르크 족은 페르시아 시인들에게 찬양의 대상이자 비난의 대상이다. 10세기 이후 이란을 지배한 투르크 족의 용맹성과 뛰어난 전술은 잘 알려져 있었다. 그래서 페르시아 시인들, 특히 투르크 왕조의 궁정 시인들은 투르크 군주들이나 병사들의 용맹성성을 높게 찬양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페르시아 시인들은 투르크 족이 군사적 정복 과정에서 보여준 잔인성과 상대적인 문화적 후진성을 비난하고 조롱하기도 했다. 이와 더불어 투르크 족의 세 번째 이미지는 아름다움이다. 이러한 이미지는 투르크 족이 이란 사회에 용병이나 하인으로 유입된 초기부터 형성되었으며 투르크 왕조가 지배한 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이란 사회 각 분야에서 하인이나 시동(侍童)으로 일하던 젊은 투르크 족의 독특한 미모는 페르시아 시인들의 시선을 끌기에 충분했다. 때로는 미소년들에 대한 노골적인 동성애적 표현도 수없이 발견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투르크 족과 관련된 키워드로 투르크족(tork, 복수형 torkān)과 투르크 족의 기질 및 특성을 의미하는 추상 명사(torkī)뿐 아니라 투르크 관습(rasm-e tork), 배신하는 투르크 족(tork-e charkh), 투르크 소녀(dokht-e tork), 투르크 소년(pesar-e tork), 천막 안의 투르크(연인)(tork-e khargāh) 등의 어휘들을 넣어 검색했다. 이렇게 수집된 시 구절들을 분석하고 내용별로 분류해 투르크 족에 대한 다중적 이미지의 결론을 도출을 시도하였다.

영문 초록

In general, the attitude of the ‘majority’ toward the ‘minority’ in a community is ridicule and contempt. This attitude is directly reflected in the literature of lingua franca used by the ‘majority’. A typical example is the image of the Jews in Persian literature. In Persian literature, both classical and modern, Jews are seen as an object of ridicule and contempt. This general rule, however, does not apply to the Turks, another “minority” in Iranian society. The attitudes and views of the Iranians toward the Turks are multiple and contradictory. In classical Persian poetry, the Turks are objects of condemnation and resentment, objects of admiration and praise, and objects of love. This is because the Turks were a “minority like majority” in Iranian society. In other words, the Turks were a “ethnic minority” but a “political majority” because they emerged as invaders and conquerors in Iran. The brutal and barbaric acts of the Turks during their invasion and conquest were expressed with condemnation and resentment, but the valiant conquest against the pagans by the Turkic monarchs who ruled Iran and their generous support for Persian poets were expressed with praise and admiration. Another Turkic image added to these is beauty. While freely contacting young Turks who entered Iranian society as slave mercenaries or servants in the early days, the unique appearance of Turks attracted the attention of Persian poets and this interest developed the young Turk into an ideal lover. Another reason that Persian poets had a relatively friendly feeling towards the Turks compared to the Jews is religion. After both Iranians and Turks converted to Islam, ethnic boundaries were eliminated and common religious boundaries were formed. In other words, the Jews were outside the boundary, but the Turks were within it, so a coexistence between the two peoples could easily be established. The Persian poets supported by the Turkic rulers were able to freely condemn the cruelty and barbarity of the other Turks, because they regarded the Turkic rulers as “himself” who had already entered the boundary and assimilated into Persian culture, but the new Turkic invaders as “others” who were outside the boundary.

목차

Ⅰ. 서론
Ⅱ. 페르시아 민족과 투르크 민족의 역사적 관계
Ⅲ. 고전 페르시아 시문학의 투르크 족 이미지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양섭(Shin, Yang-Sup). (2022).고전 페르시아 시문학에 비친 투르크 족의 다중적 이미지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32 (1), 209-238

MLA

신양섭(Shin, Yang-Sup). "고전 페르시아 시문학에 비친 투르크 족의 다중적 이미지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32.1(2022): 209-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