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牧隱 漢詩의 口語體 詩語에 대하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f Colloquial Diction in the Poetry of Mogeun, Lee Saek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魚江石(Eo, Kang-seok)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50호, 307~33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목은의 시에 사용된 구어체 시어의 사용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목은은 과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미 구어체를 습득하였으며, 또 원에서 생활한 10여년 동안에는 한어의 구사까지도 능숙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목은의 문학작품에는 구어체의 기습이 많다고 지적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17세기 중반에 편찬된 『어록해』에 수록된 구어체 단어를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목은의 구어체 시어를 실사와 허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실사로는 형용사, 동사, 명사가 있는데, 이 중에서 동사의 사용이 가장 많았으며, 명사어는 종류가 많지 않았다. 허사로는 부사와 조사가 있는데, 부사어는 상태나 정도를 나타내는 조사와 결합된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조사는 동사나 형용사에 붙어 의미를 한정하거나 강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着’, ‘兮’, ‘也’ 등을 살펴보았다. 이들 구어체 시어의 사용은 일상생활을 시로써 기록하려는 목은의 작시 태도에 비추어 볼 때,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일상에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기록한 목은의 한시는 일상의 용어와 분위기를 정확하게 묘사하려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구어체 단어를 시어로 사용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목은의 구어체 시어의 특징은 우리나라 토속어를 그대로 시어로 사용하는 데까지 나아갔으며, 목은 한시의 다양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searches the aspects and meanings of colloquial diction in the Chinese Poetry of Mogeun, Lee Saek. In the course of his prepar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he already acquired colloquial style in his poetry. Also, he had a good command of chinese words when he stayed in Won for 10 years. Therefore, it has been indicated that Moguen had a habit of using lots of colloquial languages in his literature. This study focuses on studying colloquial languages in O˘ROKHAE(語錄解) that was brought out in the middle of 17th centry. To study Mogeun s colloquial diction, it is divided into substantive words and empty words. Adjectives, verbs and nouns are in the category of substantive words, in which verbs are used the most and there not many kinds of nouns. In the category of empty words, there are adverbs and postpositional particles. Most of adverbs used are associated with postpositional particles that represent state and degree. Postpositional particles function as restricting or emphasizing meanings, among which ‘Chak(着)’, ‘Hyea(兮)’, ‘Yah(也)’ are representatively studied. It is natural that Moguen used colloquial diction to record daily lives in his poetry in the view of his art of composing poetry. Moguen had a strong will to describe languages and atmosphere of the daily lives accurately in his chinese poetry that records what he felt, heard, and saw in his livelihood. In the process, it was inevitable to describe as he intended to without using colloquial diction. This characteristic of Moguen s colloquial diction developed into using our folk words in the poetry just as they were. Also, it became the crucial factor of forming diversity in Moguen s chinese poetry.

목차

1. 緖言
2. 牧隱의 漢語 學習과 口語體 詩語
3. 實辭 詩語의 使用 樣相
4. 虛辭의 多樣한 쓰임
5. 口語體 詩語의 意味
6. 結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魚江石(Eo, Kang-seok). (2012).牧隱 漢詩의 口語體 詩語에 대하여. 동방한문학, (50), 307-335

MLA

魚江石(Eo, Kang-seok). "牧隱 漢詩의 口語體 詩語에 대하여." 동방한문학, .50(2012): 307-3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