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세기 散文의 美學的 特徵

이용수 4

영문명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19th century Prose: Focusing on science and literature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崔植(Choi, Sik)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50호, 263~28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19세기 散文의 美學的 特徵을 學術과 文藝를 中心으로 살펴보았다. 당시 學術과 文藝的 特徵은 漢學의 盛行과 ‘實事求是’의 談論, 藏書家의 出現과 같은 讀書 熱風, 小說에 해당하는 ‘三韓義烈女傳’의 擁護와 志向, 나아가 當代 學術과 文藝的 趣向을 대변하는 다양한 筆記類 著述이다. 19세기 訓詁學과 考證學으로 대변되는 漢學의 盛行은 학계에서 漢宋 論爭으로 비화되고 漢宋折衷論으로 그 접점을 찾아간다. 이후, 李正履의 ‘實事求是齋’와 金正喜의 ‘實事求是說’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따라서 ‘實事求是’의 談論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된다. 하나는 實用實踐을 중시하는 洪奭周와 洪吉周의 ‘實事求是’이고, 다른 하나는 金正喜가 淸朝와 朝鮮 학계의 학술적 성과를 반영한 漢宋折衷의 ‘實事求是’이다. 또한 博學의 추구와 맞물려 방대한 서적의 유입과 유통은 독서 열풍과 다변화를 이끈다. 따라서 다양한 중국 서적의 耽讀을 계기로 각종 독서목록과 독서록, 藏書家의 出現으로 이어진다. 金紹行의 ‘三韓義烈女傳’은 변화하는 文藝的 土壤에서 탄생하며, 金邁淳과 洪吉周는 각각의 논리로 소설의 창작과 독서를 옹호하고 변론하는데 앞장선다. 더욱이 19세기 學術과 文藝的 趣向을 대변하는 다양한 筆記類는 그 특징과 양상도 제각각이다. 金邁淳의 『闕餘散筆』은 體用論에 입각한 통합적 思惟와 文道合一을 통한 文章論의 追求를 주장하고, 洪奭周의 『鶴岡散筆』은 주로 經學 방면에서 宋學의 입장에서 漢學과 考證學을 비판적으로 인식·수용하는 자세를 보인다. 이와는 달리, 洪吉周의 ‘睡餘三筆’은 독서와 문장에 대한 독특하고 참신한 기술이 주목되며, 洪翰周의 『智水拈筆』은 조선후기를 대표할만한 筆記類 著述로 다양한 지식과 새로운 정보를 분류하고 배치한다. 따라서 19세기 散文의 美學的 特徵은 이러한 學術과 文藝를 바탕으로 형성되고 있다. 더욱이 當代 學術과 文化를 선점하고 淸朝의 學術과 文藝 動向에 민감하게 대응하던 京華世族과 관련이 깊다. 그러므로 19세기 學術과 文藝的 特徵을 규명하는 작업은 당시 京華世族의 學術과 文藝를 정치하게 살피고, 나아가 19세기 散文의 美學的 特徵을 이해하는 초석으로 삼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19th‐century prose, focusing on science and literature. The science and literature in those days are characterized by the prevalence of Han Studies, discourses of ‘Silsagusi,’ popularization of reading evidenced by the appearance of book collectors, the advocacy and pursuit of ‘Samhaneuiyeolnyeojeon’ as a subgenre of novel, and the production of various miscellaneous writings representing scientific and literary tastes in those days. The prevalence of Han Studies represented by exegetical studies and evidential studies in the 19th century developed into Han‐Sung debates in the academic circle and the debates found a contact point in the Theory of Compromise between Han and Sung. Later, Han Studies established a close relation with Lee Jeong‐li’s ‘Silsagusijae’ and Kim Jeong‐hee’s ‘Silsagusiseol.’ Accordingly, the discourses of ‘Silsagusi’ developed largely in two directions. One is ‘Silsagusi’ of Hong Seok‐joo and Hong Gil‐joo emphasizing utility and practice, and the other was Kim Jeong‐hee’s ‘Silsagusi’ of compromise between Han and Sung that refl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academic circles of the Qing Dynasty and the Chosun Dynasty. Moreover, in gear with the pursuit of erudition, a large number of books were imported and distributed and this led to the fashion and diversification of reading. The trend of reading diverse Chinese books resulted in the appearance of various reading lists, reading records, and book collectors. Kim So‐haeng’s ‘Samhaneuiyeolnyeojeon’ was born in the changing soil of literature, and Kim Mae‐soon and Hong Gil‐joo took the lead in advocating and arguing for the creation and reading of novels in their respective logics. What is more, miscellaneous writings representing the scientific and literary tastes of the 19th century showed divers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Kim Mae‐soon’s Gwolyeosanpil argued the pursuit of literary styles through integrated thinking and the union of writing and morality based on the Substance‐Function Theory, and Hong Seok‐joo’s Hakgangsanpil showed the attitude of perceiving and receiving Han Studies and evidential studies critically from the position of Sung Studies. Different from them, Hong Gil‐joo’s Suyeosampil paid attention to unique and fresh techniques of reading and writing, and Hong Han‐joo’s Jisunyeompil, which is a miscellaneous writing representative in the late Chosun Dynasty, classified and deployed various types of knowledge and new information. Accordingl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19th‐century prose were developed based on these science and literature. In particular,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gentry class living in Seoul who preoccupied science and literature in those days and responded sensitively to scientific and literary trends in the Qing Dynasty. Therefore, research for identifying the scientific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19th century can be a foundation for examining the science and literature of the gentry class living in Seoul in detail and understand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19th‐century prose.

목차

1. 머리말
2. 漢學과 ‘實事求是’
3. 讀書와 ‘三韓義烈女傳’
4. 筆記類 著述과 特徵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崔植(Choi, Sik). (2012).19세기 散文의 美學的 特徵. 동방한문학, (50), 263-286

MLA

崔植(Choi, Sik). "19세기 散文의 美學的 特徵." 동방한문학, .50(2012): 263-2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