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昏君을 향해 세운 절의 조선 후기 光海朝 節臣의 史的 형상화 양상

이용수 11

영문명
The loyalty for the tyrant- the historic imagery of Gwanghaegun(光海君) s loyali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鄭用健(Chung, Yong-gun)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88호, 99~148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 후기 문인 사회에서 ‘광해조 절신’으로 기억된 인물들의 면면과 그 사적 형상화 양상에 대해 살핀 글이다. 조선은 유교적 국가관을 표방하며 세워진 나라였던만큼 건국 초기부터 유가 이념의 근간을 이루는 ‘忠’을 강조하였고, 군신 간의 의리를 중시한 역대 인물을 지속적으로 기억·현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節臣’에 대한 관심은 ‘昏君’이라 일컬어진 光海君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었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광해조 절신’의 존재 양상을 ‘柳夢寅과 北人系 인물’, ‘金坽’, ‘金興國’ 등 세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들은 北人, 南人(金坽), 西人(金興國) 등 각기 다른 당파 출신으로 仁祖反正 당시에도 상이한 상황에 처해 있었으며, 그 속에서 의리를 지킨 방식 역시 일정한 차이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후대에 이들을 절신으로 높이고자 한 주체와 그 시기 및 방법에 있어서도 저마다의 변별적 국면을 지니고 있었다. 다만 각 인물에 따라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절신 현양 양상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 속에는 이들을 관통하는 공통점 역시 일정하게 존재하였다. 먼저, 이들에 대한 추숭 작업이 시기적으로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기에 이르러 완성되었다는 점이다. 각 인물들은 대체로 17세기 이래 절신으로서의 점진적인 기억 과정을 거쳐 문인 사회에서 ‘광해군을 위한 충신’으로 받아들여져 왔는데, 특히 이 시기에 이르러 그러한 노력이 최종적인 완성을 보았다. 다음으로, 이들의 절신 현양에는 정보의 추가·삭제·윤색 등 일정한 조탁의 과정이 동반되었다는 점이다. 김흥국은 18세기까지만 해도 광해군에 대한 절행의 내용이 크게 드러나지 않았다가 19세기에 이르러 비로소 절신 서사를 부여받았거니와, 유몽인과 김령이 역사적으로 기억되어 온 과정을 추적해 보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특정한 일화와 사건이 조금씩 덧붙여지거나 제외되면서 보다 완정한 절신으로서의 모습이 조형되어 온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유몽인과 북인계, 김령, 김흥국 등은 그들이 가진 서로 다른 배경과 행적에도 불구하고, 점진적인 사적 형상화 과정을 거친 끝에 19세기에 이르러 ‘광해조 절신’이라는 담론장 안에 느슨하게나마 포섭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들은 군주의 明暗 여부에도 불구하고 신하로서의 의리를 끝까지 지킨 광해군의 遺臣으로 후대적 인정을 받았으며, 나아가 절의의 상징 ‘伯夷’를 비롯하여 ‘吉再·死六臣·金時習·燕山朝節臣’ 등 동방 절신과도 그 이름을 나란히 하였다. 유가 이념의 진작과 확립을 위해 조선만의 伯夷를 찾고자 부단히 노력했던 조선 문사들의 의식 활동은, 이처럼 광해군 때의 신하들을 대상으로도 분명한 성취를 거두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고의 논의를 통해, 그간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광해조 절신에 대한 이해의 증진은 물론, 鄭夢周·吉再·死六臣·金時習 등 일부 인물만을 대상으로 언급되었던 ‘조선조 절신 서사’의 발굴과 확충에도 일정하게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aspects of the characters who were remembered as ‘Gwanghaegun(光海君) s Loyalist’ and their historic imagery in the literary socie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Joseon was founded with Confucianism, it emphasized ‘loyalty’ and continuously honored the historical figures who showed loyalty. This interest in loyalist was also applied to Gwanghaegun called tyrant. This thesis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the three categories of Gwanghaegun s Loyalist: ‘Yu Mong-in(柳夢寅) and buk-in(北人)’, ‘Kim Ryeong(金坽)’ and ‘Kim Heung-guk(金興國)’. They were in different situations at the time of the rebellion of Injo(仁祖反正) due to their different party colors. Not only that, they each had their own distinctive aspects in terms of the subjects who wanted to raise them, timing and methods. In spite of the aspect of the commemoration made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figures, there were also certain commonalities that penetrated them. First, in terms of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commemoration work on them was comple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Second, the commemoration was accompanied by a certain process of arranging, such as adding, deleting, and embellishing information. In this way, despite their different backgrounds and activities, the three men showed a pattern of being loosely included in the discourse of Gwanghaegun s Loyalist in the 19th century after going through a gradual commemoration process. Not only they received recognition from posterity as the loyalists of Gwanghaegun, but also stood shoulder to shoulder with the symbols of loyalist such as Jeong Mong-ju(鄭夢周), Gil Jae(吉再), Sayuksin(死六臣), Kim Si-seup(金時習) and Yeonsangun s loyalists(燕山朝節臣). For the promo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Confucian ideology, the activities of the Joseon scholars who worked tirelessly to find Joseon s Baek Yi(伯夷) were able to achieve clear results even for the subjects of Gwanghaegun. Through the discussion of this thesis, it is hoped that not only the understanding of Gwanghaegun s loyalist can be improved, but also the ‘Epic of the Joseon s loyalist’, which was mentioned only for a few people such as Jeong Mong-ju, Gil Jae, Sayuksin and Kim Si-seup can be discovered and expanded.

목차

1. 서론
2. 조선 후기 광해조 절신 개관
3. 광해조 절신의 사적 형상화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鄭用健(Chung, Yong-gun). (2021).昏君을 향해 세운 절의 조선 후기 光海朝 節臣의 史的 형상화 양상. 동방한문학, (88), 99-148

MLA

鄭用健(Chung, Yong-gun). "昏君을 향해 세운 절의 조선 후기 光海朝 節臣의 史的 형상화 양상." 동방한문학, .88(2021): 99-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