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末 檄文의 문학적 기능에 대한 고찰(1)

이용수 10

영문명
A Study on the Literary Functions of the War Manifesto during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1)- based on the case of the Early Righteous Armies War Manifesto -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朴貞珉(Park, Jeong-min)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88호, 181~21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檄文은 전시에 외부의 적과 내부의 신민에게 보내는 軍用 문서의 일종으로, 기세를 눌러 적을 제압하거나 상대를 감동시켜 협력을 유도함을 목표로 한다. 격문은 전장에서 군사적 목적으로 작성되는 실용문이기에 전쟁의 역사를 입증하거나 전쟁 참여자의 의식을 반영하는 史料로서 의의가 있으며, 독자의 마음을 격동시키기 위해 수사적 장치를 수반하는 문학문이기에 인간 정서와 언어의 작용을 살필 수 있는 문학 자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한말 격문에 관한 연구는 특정 인물·학파·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발적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이는 격문이 문학 자료로서보다는 사료로서 연구자들에게 주목받았기 때문으로 보이며, 또한 다양한 문헌에 산재하여 접근성이 떨어지는 격문의 자료적 특성 역시 총체적 격문 연구의 활성화를 저해한 요소로 판단된다. 이에 필자는 한말 전기의병 항쟁기(1894년 7월∼1896년 9월)격문을 논하여 격문 연구의 외연을 넓히되, 자료 목록을 작성하여 해당 시기 격문에 대한 총체적 연구의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말은 외세의 침략에 항거하는 민족적 단결과 활동의 필요성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對人的 기록의 기능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시기였다. 한말 전기의병 격문은 대내적으로는 자주 동맹의 결성과 단합을, 대외적으로는 일본의 침략에 대한 대응과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는 범국민적 선언으로서 그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였다. 이 시기 격문의 문학적 기능은 ‘倡義 召募’·‘情報 共有’·‘敵軍 聲討’·‘內部 告發’·‘對外 宣傳’의 5가지로 요약된다. 안팎으로 유포된 격문은 초반에는 전기의병의 무력항쟁을 선동하고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였지만, 점차 문필 항쟁의 수단으로서 보다 큰 대외적 파급력을 행사하였다. 이 시기 격문은 外侵에 항거하는 전투에서 정신적 壞滅을 방지하기 위해, 내재적 결속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대외적 협력을 유인하기 위해, 적에게 빌붙는 타락 행위를 각성시키기 위해서, 민족 주체성의 수호를 위해 긴장·결속·경계를 촉발시키는 중대한 문학적 기능을 열렬히 그리고 끊임없이 수행하였다. 외세 침략의 위험을 알리기 위한 급박한 경고,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열성적 설득, 급변하는 사회의 흐름에 발맞추려는 지식인의 역동적 대처, 외세 침탈에의 항거를 유인하는 적극적 영도력 등이 두루 담긴 한말 전기의병 격문. 결코 가볍지 않은 시대의 무게를 담아낸 격문의 격렬함과 진지함이 지금도 독자의 마음을 뒤흔든다.

영문 초록

War Manifesto is a kind of military document written for external enemies and internal nationals to overpower enemies by taking the fight out of them, and also promoting cooperation by inspiring people. Since war manifestos are very practical writings used on the field of battle for the military purpose, it has great significance as historical records that prove the history of war and reflect the consciousness of war participants. Besides, it is valuable as literary materials, too, that show human emotions and how language works, as it is literary writings accompanied by rhetorical expressions in order to touch the hearts of the readers. Most of previous studies working on war manifestos written during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tend to be sporadic, usually focusing on specific people, schools, and regions. This is probably because war manifestos used to receive researchers attentions as historical records, rather than as literary materials. Also, it is assumed that low accessibility of war manifestos with scattered occurrence in a diverse range of literature has hindered general researches from develop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tend the scope of the study of war manifestos by discussing war manifestos particularly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the early righteous armies resist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July, 1894 to September, 1896. It also intend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general researches and studies on war manifestos written in the relevant period, by making a list of materi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unctions of interpersonal records were desperately needed more than ever, due to the necessity of national unity and movements against foreign intrusion. And the early Righteous Armies war manifestos writte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exactly met the needs of the times, as a pan-national declaration that promoted the organization and unity of the independent alliance internally, and reaction to the Japanese invasi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externally. The literary functions of the war manifestos in that period are largely summarized in five: raising up a righteous army, information sharing, denunciation of the enemy, whistle-blowing, and international propaganda. The function, at the beginning, of the manifestos proclaimed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started from inciting and assisting the early Righteous Armies armed struggle. But later, it began to go beyond the limits of armed struggle, and even greatly exerted an external influence, as one way of literary struggle. The manifestos in that period fulfilled a significant literary function stirring up tension, unity, and wariness in people fiercely and unceasingly in order to avoid mental destruction from exhausting fights against foreign invasion, increase internal cohesion, induce international cooperation, wake up people from corruption, like leeching off of the enemy, and ultimately, protect the national independence and identity. Even today, the early Righteous Armies manifestos in the Late Joseon Dynasty still deeply inspire readers with its intensity and gravitas that come from massiveness of the harsh times, showing an urgent warning to alert people of the danger of foreign invasion, passionate persuasion to protect the national identity, dynamic reaction of the intellectuals to keep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active leadership to induce the national resistance against foreign invasion.

목차

1. 서론
2. 한말 전기의병의 격문 현황
3. 한말 전기의병 격문의 기능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貞珉(Park, Jeong-min). (2021).韓末 檄文의 문학적 기능에 대한 고찰(1). 동방한문학, (88), 181-216

MLA

朴貞珉(Park, Jeong-min). "韓末 檄文의 문학적 기능에 대한 고찰(1)." 동방한문학, .88(2021): 181-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