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시대의 懸吐에 대한 인식

이용수 17

영문명
Perception on the Hyunto(懸吐)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姜玟求(Kang, Min-koo)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85호, 7~54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懸吐’는 ‘懸讀’의 속칭이며 ‘懸讀’를 ‘口訣’이라고도 부르는 이유는 그것이 없으면 글의 의미를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口訣과 釋義은 薛聰의 이두에서 기원하며, 鄭夢周와 權近이 경전의 구결을 만들었다고 한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세종이 『소학』과 사서와 오경의 口訣을 정하게 하였는데 마무리짓지 못하고 세조의 명으로 다시 사서오경의 구결을 만들게 되었다. 이것이 선조 조에는 경전의 언해 사업으로 발전하여 官本諺解가 만들어진다. 그것과 함께 조선에서 중시된 경전 현토와 언해는 柳崇祖․李滉․李珥 등에 의하여 만들어졌다. 柳崇祖[1452~1512]가 경서 언해를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하며 그의 칠서언해가 유포 활용되었다. 그리고 퇴계의 『經書釋義』는 諸家의 訓義를 다방면으로 인용하면서 절충해 만든 것이라고 한다. 또, 율곡의 사서언해는 경전 언해를 제작하라는 선조의 명을 받은 柳希春이 율곡을 추천하여 이루어진 것인데, 『논어언해』와 『맹자언해』는 임진년에 소실되고, 『대학언해』․『중용언해』만 남아 있다가 등사본 등을 수집하여 인행한 것이다. 그런데 그들 언해에 대한 신뢰와 회의가 병존하였으니, 당색에 따른 정치적 이념이 상당 정도 작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서인은 율곡의 사서언해를 높이 평가하고 퇴계의 『경서석의』를 상대적으로 미진한 것으로 평가절하 하였고, 남인은 퇴계의 『경서석의』를 존숭하고 율곡의 사서언해를 배타하였다. 口訣은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에 비유될 정도로 한문 공부에서 긴요한 수단이 되었다. 따라서 현토 없는 한문책이 오히려 이상하게 여겨졌다. 효종은 중국 사람들이 현토를 하지 않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였다. 또 정조는 어렸을 때 『춘추』를 課讀하여 불과 20일 만에 완독하였는데, 이때 공부한 책에는 현토가 되어 있었다. 현토는 경학이나 理學 텍스트의 정확한 해독 뿐 아니라 불경이나 문장의 정확한 해독에 대한 담론에서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한편 현토에 대한 부정적 견해도 존재하였다. 成俔[1439∼1504]은 중국 사람들은 말과 문자가 일치하기에 배우기 쉽지만 우리는 그렇지 않아서 독음이 따로 있고 뜻이 따로 있으며 구결까지 있기에 배우기가 어렵다고 하였고, 盧守愼[1515~1590]은 사서의 구두에 우리말로 토를 다는 것을 쓰지 못하게 하라고 선조에게 건의하였다. 權得己[1570~1622]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전 공부의 문제점 중 하나로 현토 공부를 거론하며, 한문이 중국에서 전래되었기에 중국이나 조선이나 한문을 읽는 방법은 같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趙翼[1579~1655]은 科擧에서 현토를 지나치게 중시하는 풍조를 강하게 비판하였다. 李喆輔[1691~1770]는 토를 따라 글을 읽으면 사고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현토가 학습에 방해가 된다고 하였으며, 李裕元[1814~1888]은 經傳에 모두 諺解가 있어 공부하기가 중국보다 갑절이나 힘이 들고, 이 때문에 학업의 성취가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조선은 한문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하여 현토를 만들었고, 국가적 차원에서 관본언해가 인행되었으며 유학의 종장들에 의하여 경전에 언해가 만들어졌다. 당색에 따라 퇴계와 율곡의 경전언해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서 자칫 정쟁의 일부로 전이된 점도 있으나, 각각 자신들의 宗師가 만든 언해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경전 등의 현토와 언해가 점차로 정확하게 되었다는 사실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영문 초록

‘Hyunto(懸吐)’ is the common name of ‘Hyundok(懸讀)’, and the reason why ‘Hyundok(懸讀)’ is also called ‘Gugyeol(口訣)’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riting without it. It is said that Gugyeol(口訣) and Commentary(釋義) in Korea originated from the Idu(吏讀) of Seolchong(薛聰), and Jeong Mong-ju(鄭夢周) and Kwon-Geun(權近) made the Gugyeol of scriptures. In the Joseon Dynasty, King Sejong made the Gugyeol of 『Sohak』, Four Books(四書) and Five Classics(五經) decide, but failed to complete it, and the Gugyeol of Nine Chinese Classics was created again under the command of King Sejo. This was developed into the work of the Eonhae(諺解) business of the scriptures in King Seonjo’s reign, and the Gwanbon-Eonhae(官本諺解) was created. Along with this, the Hyunto of scriptures, which was valued in Joseon, was created by Yu Sung-jo(柳崇祖), Lee-Hwang(李滉) and Lee-Yi(李珥). Yu Sung-jo(柳崇祖)[1452~1512] is said to have made the Eonhae of scriptures for the first time, and his Chilseo-Eonhae was spread and utilized. Toegye’s 『The Commentary of scriptures(經書釋義)』 is said to have been made by quoting and compromising the Korean translation of a Chinese character of the various masters in many ways. Yu Hui-chun was commanded by King Seonjo to produce the Eonhae of scriptures, so he recommended Yulgok, and this was how Yulgok’s Saseo-Eonhae was made. 『The Analects of Confucius Eonhae』 and 『Mencius Eonhae』 were disappeared in 1592, and only 『Dae-hak Eonhae』 and 『Jung-yong Eonhae』 were left, and were published by collecting duplicate copies. Since confidence and skepticism coexisted in their Eonhae, so it is understood that political ideology based on a partisan coloring worked to a considerable extent. Seo-in praised Yulgok’s Saseo-Eonhae, and devalued Toegye s 『The Commentary of scriptures』 as being relatively incomplete, while Nam-in respected Toegye’s 『The Commentary of scriptures』 and excluded Yulgok’s Saseo-Eonhae. Gugyeol has become important means of studying Chinese classics, to the point of being likened to ‘a finger pointing to the moon’. Therefore, the books of Chinese classics without the Hyunto was considered rather strange. King Hyojong thought it was strange that the Chinese people did not write the Hyunto. Also, when Jeongjo was a child, he read completely 『Chunchu』 in only 20 days, and Hyunto had been written in the book he studied at that time. The Hyunto was used as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natural sciences texts as well as a major means of discourse on the correct deciphering of Buddhist scriptures and sentenc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negative view of the Hyunto. Seong-Hyeon(成俔)[1439∼1504] said that Chinese people were easy to learn because the language and letters match, but we were not, so it was difficult to learn because there were a separate reading sound, a separate meaning, and even a Gugyeol. Noh Su-sin(盧守愼)[1515~1590] suggested to King Seonjo not to use Hyunto in Korean on the punctuation of Four Books(四書). As one of the problems of the Korean people’s study of scriptures, Kwon Deuk-gi(權得己)[1570~1622] mentioned the study of the Hyunto, and because Chinese classics were introduced from China, he asserted that the method of reading Chinese classics should be the same in China or Joseon. In particular, Jo-Ik(趙翼)[1579~1655] strongly criticized the trend of placing too much emphasis on the Hyunto in state examination. Lee Cheol-bo(李喆輔)[1691~1770] said that reading the text along the Hyunto does not require thinking, so the Hyunto interferes with learning. Lee Yu-won(李裕元)[1814~1888] argued that it is twice as difficult to study as China because there are Eonhae in all of scriptures, and that it was difficult to achieve one’s studies. Joseon Dynasty created the Hyunto to efficiently learn Chinese classics, the Gwanbon-Eonhae was published at the national level,

목차

1. 서론
2. 현토의 형성과 발전
3. 현토에 대한 긍정적 견해
4. 현토에 대한 부정적 견해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姜玟求(Kang, Min-koo). (2020).조선 시대의 懸吐에 대한 인식. 동방한문학, (85), 7-54

MLA

姜玟求(Kang, Min-koo). "조선 시대의 懸吐에 대한 인식." 동방한문학, .85(2020): 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