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童蒙須知』의 庭訓的 성격과 조선조의 수용

이용수 0

영문명
Children’s Textbook, 『Dongmongsuji(童蒙須知)』for Home Education and Acceptance of Literates (文人) in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李義康(Lee, Yi-kang)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80호, 7~3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朱熹의 저술 『童蒙須知』를 오늘날 아동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정신을 담고 있는 고전으로 재조명한 것이다. 주희는 ‘아동이 모름지기 알아야 할 내용’을 엮어 책을 편찬하면서 제목을 ‘童蒙’이라 하였다. 여기에는 그가 아동을 인지 능력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無知蒙昧한 상태의 존재로 보았던 인식의 일단이 배어 있다고 할 수 있다. 『童蒙須知』의 체제는, 저술 동기를 밝히는 머리말, 아동들이 지녀야 할 생활 습관 및 웃어른을 대하는 예절을 분류하여 나열한 5편의 본편, 주의 사항을 준수하여 습관화했을 때의 효과를 들어 재차 권면하는 맺음말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몽수지』의 내용적 특징을 지적한다면, 아동들이 일상생활에서 모름지기 지녀야 할 습관과 예절에 한정하여 기술하였을 뿐, 왜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것인가의 이치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주자는 아동들에게 ‘所當然’만을 말하였고, 그 ‘所以然’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면서 이 점은 후일에 아동들이 성장하여 성현들의 다른 책을 읽으면 절로 알게 될 것이고 하였다. 조선조 문인들은 주희가 『소학』 편찬을 완성한 이후 가정에 있는 아동의 庭訓用으로 『동몽수지』를 저술했다고 이해하였다. 이러한 이해는 조선조 문인들의 보편적 인식이었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는 『동몽선습』과 『격몽요결』등이 아동 교육교재로 크게 환영을 받아 널리 유행함으로써 『동몽수지』를 대체하였다. 아동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객관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가르치는 일이 아니라, 바른 습관을 몸에 배도록 하고 상대를 존중하는 예절을 지니도록 경계하는 庭訓이라는 사실을 『동몽수지』는 오늘날 여전히 대변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reinterpretation of the book, 『Dongmongsuji(童蒙須知)』 by Zhu-xi(朱熹; 1130~1200), who compiled Neo-Confucianism(新儒學). Zhu-xi deliberately used the vocabulary, “Dongmong(童蒙)” as he compiled this book by putting together the things that children must know. It can be seen from this that Zhu-xi perceived children as ignorant and innocent beings without cognitive abilities. The system of 『Dongmongsuji』 consists of three parts including the preface to writing motives of the book, the main content of five examples of children s lifestyles and manners for others, and the conclusive remark to exemplify the effect when practicing book contents well habitually. The content characteristic of 『Dongmongsuji』 is that it only describes the habits and manners that children should have in their daily lives, and didn t explain why. In other words, Zhu-xi only told children “Sodangyeon(所當然)” of the Code of Conduct, and omitted the description of ‘Soyiyeon(所以然)’.The literates of the Joseon dynasty understood that after Zhu-xi completed 『Sohak(小學)』, he wrote 『Dongmongsuji』 for home education of children at home. This understanding was then universal recognition of literates at the time. In the late Joseon, children s education textbooks such as 『 Dongmongseonseup(童蒙先習)』 and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compiled independently in Joseon were popular, replacing 『Dongmongsuji』. Thus, needless to say, the study of 『Dongmongsuji』 may find the fac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hildren s education is that home education is not about injecting objective knowledge but is to guide them to carrying manners to respect for others in their body.

목차

1. 머리말
2. 朱熹의 아동관 ‘蒙’
3. 『童蒙須知』의 庭訓的 성격
4. 조선조의 『童蒙須知』에 대한 수용과 이해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義康(Lee, Yi-kang). (2019).『童蒙須知』의 庭訓的 성격과 조선조의 수용. 동방한문학, (80), 7-33

MLA

李義康(Lee, Yi-kang). "『童蒙須知』의 庭訓的 성격과 조선조의 수용." 동방한문학, .80(2019): 7-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