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전기소설의 연구사 검토 및 서사 문법 시론

이용수 13

영문명
Review of Research History with an Essay on Narrative Style of Korean Jeon-gi Novels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嚴泰植(Eom, Tae-sik)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80호, 179~21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 전기소설 연구는, 소설사적 관점에서의 연구, 전기소설의 양식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전기소설에 나타난 奇에 주목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선행 연구들은 저마다 타당성을 지니고 있지만, 거기에서 도출해 낸 몇몇 특성들은 전기소설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없으며 전기소설만의 특징도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전기소설의 奇에 주목하여 한국 전기소설의 서사 문법을 시론으로 제시해 보았다. 한국 전기소설이 여타 고전소설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점은 ‘비극적 결말’이 보편적이라는 점인데, 이는 기이함에 대한 향유층의 인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국 전기소설의 奇는 非日常일 뿐만 아니라 非正常이기도 한바, 비극적 결말은 곧 奇에 대한 향유층의 부정적 인식에 따른 필연이다. 한국 전기소설의 향유층은 儒者였고 전기소설의 기이한 이야기는 공자가 이야기하지 않았던 怪力亂神이었던 것이다. 요컨대 전기소설의 奇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그에 따른 비극적 결말은 한국 전기소설의 서사 문법이며, 그 기저에는 儒家的 사유가 자리하고 있다.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모두 비극적 결말이고 신광한의 『기재기이』에는 비극적 결말이 없다. 김시습은 세계의 불합리를 드러내기 위해 비극적 결말의 기이한 이야기를 창작했고, 신광한은 현실을 긍정하기 위해 기이함을 부정하는 기이한 이야기를 만들었다. 그러나 두 작자 모두 奇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은 동일하다.

영문 초록

The study of Korean Jeon-gi novels can be divided into the study that accompanies perspective from fiction history, the study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Jeon-gi novels, and the study that focuses on the Gi奇 of Jeon-gi novels. However,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their validity, som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m are not universally applicable to Jeon-Gi novels nor are they unique features of Jeon-gi novels.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Gi of Jeon-gi novels and presented as an essay about the narrative style of Korean Jeon-gi novels. What distinguishes Korean Jeon-gi novels from other classical novels is that ‘tragic ending’ is commonly found. This fac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ain readers’ perception towards Gi. Gi of Korean Jeon-gi novels contains not only unusual but also abnormal contents, thus a tragic ending being inevitable due to the readers who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Gi. Most readers of Korean Jeon-gi novels were Confucian scholars and the Gi of Jeon-gi novels represented goelyeognansin怪力亂神 in the world that Confucius did not talk about. In short, the negative perception of Gi of Jeon-gi novels and its tragic ending are the narrative structure style of Korean Jeon-gi novels, its basis coming from Confucian ideology. All novels from Kim Shi-seup’s Gumosinhwa are tragic endings while there are no tragic endings in the novels in Shin Gwang-han’s Gijaegii. In order to expose the absurdity of the world, Kim created a novel about eccentric happenings with a tragic ending, and Shin wrote a novel that denies eccentricity to affirm reality. However, they are alike in that both writers had a negative perception towards Gi.

목차

1. 서론
2. 한국 전기소설 연구의 반성적 검토
3. 한국 전기소설의 서사 문법 시론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嚴泰植(Eom, Tae-sik). (2019).한국 전기소설의 연구사 검토 및 서사 문법 시론. 동방한문학, (80), 179-213

MLA

嚴泰植(Eom, Tae-sik). "한국 전기소설의 연구사 검토 및 서사 문법 시론." 동방한문학, .80(2019): 179-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