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古地圖 속의 鹿屯島

이용수 141

영문명
Nokdundo Island in the Early Maps of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김귀한(Kim Kwiha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21號, 137~15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고지도(古地圖)를 통해 조선시대 녹둔도(鹿屯島)의 시기별 변화 과정을 추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녹둔도는 고지도에 해도(海島)ㆍ하중도(河中島)ㆍ삼각주(三角洲) 등으로 그려졌다. 조선 후기에는 현재 러시아 연해주에 연륙화(連陸化)되었다. 고지도에 보이는 녹둔도의 영역은 일치하지 않는다. 특히 동시기에 제작된 지도임에도 녹둔도의 성격은 다르게 표현되었다. 이에 따라고지도를 통해 녹둔도의 모습을 파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여기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참고하여 오류가 분명한 고지도를 제외하고, 당시 문헌과 현재의 지리적 정보를 종합하여 조선시대 녹둔도의 변천을 설명해 보고자 한다. 『동여비고(東輿備攷)』(1680년대)에 보이는 두만강 하구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 勝覽)』(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의 기록과 많은 부분이 일치한다. 15∼17세기 녹둔도는 동해에 인접한 하중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녹둔도가 동해에 가까웠기 때문에 일찍부터 해도라는 이미지가 생겼고, 그러한 이미지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부도(附圖)인 「동람도(東覽圖)」 를 통해 조선 후기까지 전승되었다고 생각된다. 18세기 초반 이후 두만강 하구는 퇴적 작용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녹둔도 또한 섬 주변으로퇴적물이 쌓였던 것으로 보인다. 녹둔도를 포함한 두만강 하구는 삼각주로 변모하였다. 이는 18 세기 중반에 제작된 『해동지도(海東地圖)』(1750년대 초반)와 『비변사인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 地圖)』(1747년경)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퇴적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녹둔도는 1760년경 두만강의 좌안(左岸)에 연륙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지도서(輿地圖書)』(1760년경)에 보이는 녹둔도는 바로 이러한 상황을 알려준다. 요컨대, 조선시대 고지도를 통해 볼 때 녹둔도는 17세기까지는 두만강 하구의 하중도였다. 18 세기 초반경 녹둔도를 비롯한 두만강 하구는 퇴적물로 인해 삼각주가 형성되었다. 이후 늦어도1760년경에는 두만강의 좌안인 연해주에 연륙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assume the change process of Nokdundo Island by perio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early maps. Nokdundo Island was drawn on the early map as an oceanic island, river island, delta, etc.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connected to Russia s Primorsky Krai. The territory of Nokdundo shown on the early maps does not match each other. In particular, although the maps were produced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istics of Nokdundo Island were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ly, there are limitations in grasping the appearance of Nokdundo Island through the early maps. This paper would like to explain the transition of Nokdundo Island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literature of the time and the current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research results so far, excluding some early maps having apparent errors. The estuary of the Dumangang River seen in Dongyeo Bigo (東輿備攷, the 1680s) is consistent with the records of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 late 15th century to early 16th century). It is assumed that Nokdundo Island in the 15th to 17th centuries was a river island adjacent to the East Sea. However, because Nokdundo Island was close to the East Sea, it had the image of an oceanic island, and it is thought that such image was passed down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Dongramdo(東覽圖), an atlas of Sinjeungdongguk Yeoji Seungram. Since the early 18th century, sedimentation had been actively progressed at the estuary of the Duman River. It seems that the sediment has accumulated around the Nokdundo Island as well. The estuary of the Duman River, including Nokdundo Island, has been transformed into a delta. This can be confirmed in Haedong Jido (海東地圖, the early 1750s) produced in the mid-18th century and Bigyeon Sain Bangan Jido (備邊司印方眼地圖, around 1747), etc. Since then, as the sedimentation continued, it is assumed that Nokdundo Island has been connected to the left bank of the Duman River around 1760. Nokdundo Island shown in Yeojidoseo (輿地圖書, around 1760) shows this situ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15∼16세기 고지도에 보이는 녹둔도: 해도(海島)
Ⅲ. 17세기 고지도에 보이는 녹둔도 : 하중도(河中島)
Ⅳ. 18∼19세기 고지도에 보이는 녹둔도: 삼각주(三角洲)와 연륙화(連陸化)
Ⅴ. 맺는말 : 녹둔도의 시기별 변화 과정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귀한(Kim Kwihan). (2021).조선시대 古地圖 속의 鹿屯島. 백산학보, (121), 137-159

MLA

김귀한(Kim Kwihan). "조선시대 古地圖 속의 鹿屯島." 백산학보, .121(2021): 137-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