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도시의 주거환경이 주민건강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용수 58

영문명
Contextual Effec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Health of Adults in Metropolitan Areas-The Case of Seoul City
발행기관
한국집합건물법학회
저자명
전경구(Chun, Kyung-Ku)
간행물 정보
『집합건물법학』제29집, 169~20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을 대상으로 대도시의 주거환경이 주민들의 심리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질병관리본부가 조사한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특성이 주민들의 자기건강평가, 스트레스, 우울감에 미치는 맥락효과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토대로 주관적 건강평가, 스트레스, 우울감의 세 가지 종속변수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분석한 결과, 건강의 유형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개인적 특성 차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지역 간 특성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는 우리나라 대도시에 있어서는 지역환경에 따른 개인건강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지역환경의 영향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비록 지역특성의 차이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지라도 몇 가지 유의미한 변수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스트레스의 경우 문화시설과 지역안전성, 그리고 의료시설이 유의미한 변수이고, 우울감의 경우 주택가격과 영세가구의 비율 그리고 안전성이 유의미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리적ㆍ정신적 건강에 중요한 지역특성은 주택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안전성, 그리고 건강집합자원이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 및 가구특성과 관련하여 심리ㆍ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질병별로 차이가 있는 바 우울감의 경우 성별, 가구원수, 기초생활수급여부, 질병여부, 교육수준, 그리고 배우자 유무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도시의 지역사회 건강정책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사회적 혼합정책을 통하여 슬럼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대도시에서는 일부 지역에 저소득 영세민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취약지역이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저소득계층을 위한 장기임대주택을 집단적으로 형성하는 정책을 추진해 왔는데 이는 사회적 배제와 소외감을 야기하고 나아가 우울감과 같은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근린의 사회적 포용정책을 통하여 열악한 취약근린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취약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택가격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나타났다는데 주택가격이 높다는 것은 주거환경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택의 사회적,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역의 범죄발생 위협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외국의 사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것처럼 범죄에 취약한 지역의 주민들은 심리와 정신건강 측면에서 많은 고통을 안게 된다.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안전이 외국과 같은 수준으로 나쁜 정도는 아니지만 점점 악화되어 가는 경향이 있고 이는 주민들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보다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health is directly associated with personal household factors. However, since 1930’s there has been an ongoing debate regarding whether there are contextual effects or neighborhood effects on the health of adults in large metropolitan area.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effects are prominent in the metropolitan areas in the United States. In Korea too there has been a limited number of research on the issue but the analysis results regarding whether there are the contextual effects or not indicate inconclusive.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resence of contextual effect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self-rated health,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of adults in Seoul Metropolitan City with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In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community health survey’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KCDC) for the health diagnosis and the person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To test the contextual effects the neighborhoods were defined by Gu districts and data of the 25 districts from a variety of secondary sources provided by Seoul City and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were employed.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textual effects of residental environment on the self-rated health,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were minimal compared to person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CCs of the unconditional models indicated less than 1%. Even if ICCs were low, among the three health diagnosis depressive symptoms appeared to be the most influenced by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showed that even of the contextual effect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low, some variables such as housing pric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afety, and collective heath resources of the neighbors were significant for the psycho-mental health. Also, the variables of person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in the 1st level that were significant differed by health diagnosis. In the case of depression symptoms the variables such as gender, number of household member, social security, experience of serious illness, educational attainment and spouse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reasons why the contextual effects were so low in the large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city. Also, this study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In particular the social mix policy, improvement of housing conditions of the disadvantaged neighborhoods and security from crime were suggested to be important policy instruments for the health of adults in the neighborhood contex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자료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경구(Chun, Kyung-Ku). (2019).대도시의 주거환경이 주민건강에 미치는 영향분석. 집합건물법학, 29 , 169-207

MLA

전경구(Chun, Kyung-Ku). "대도시의 주거환경이 주민건강에 미치는 영향분석." 집합건물법학, 29.(2019): 169-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