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明·오이라트 通貢·互市의 양상과 성격

이용수 107

영문명
The Tributary Trade and the Border Market between the Ming and the Oirads
발행기관
한국몽골학회
저자명
조원(Cho, Won)
간행물 정보
『몽골학』제67호, 155~18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15세기 명과 오이라트 간의 조공 무역과 호시를 중심으로 경제 교류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 보았다. 명은 초기부터 북원을 견제하기 위해 몽골 초원 서부 오이라트, 요동지역의 우량카이와 경제 교류를 시작했다. 특히 명과 오이라트의 관계는 土木堡의 변이 발발하기까지 거의 반세기에 걸쳐 규모나 다양성의 측면에서 경제 교류가 확대되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1408년 오이라트는 명과의 공식적인 조공 관계를 맺었고 이로서 조공 형식의 絹馬 교역을 시작했다. 이후 오이라트의 지도자가 된 토곤은 명에서 유입된 물자가 오이라트 수령의 중요한 물적 기반이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더욱 적극적으로 명과의 조공 무역을 개진했다. 토곤이 초원에서 동몽골을 몰아내고 몽골 초원을 장악한 이후 사절단의 규모와 진공품의 수가 급증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상품도 다양화되어 말과 낙타뿐 아니라 다양한 모피가 진상되었던 점이 주목된다. 명과 오이라트의 경제 교류는 조공무역의 일환으로 會同館 무역이 전개되었다. 명과 오이라트는 조공 무역이 개시될 무렵부터 부정기적인 馬市 교역을 진행되었고, 몽골인들의 경제적 욕구과 명의 변경 방위비 부담의 절감이라는 의도가 맞물려 1438년 大同 지역에 공식적인 馬市가 개설되었다. 에센 시기 명을 상대로 오이라트의 조공 무역은 조공 사신단과 조공품 규모의 측면에서 더욱 확대되었고 이는 명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했다. 에센 시기 조공 무역 확대의 이면에는 당시 오이라트의 칸이었던 톡토부카의 세력 확대가 에센에게 위협으로 작용했기 때문이었다. 에센은 명과의 朝貢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경제적 입지를 다질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에센 시기 대명 조공 무역의 확대는 에센과 무슬림 상단의 연합의 측면도 고려되어야 한다. 조공 사신단에는 상당수의 무슬림 상인들이 포함되어 있었음이 확인되는데 이는 에센세기 하미에 대한 오이라트의 정치적 지배력이 미치고 타림분지로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하미를 비롯하여 중앙아시아 무슬림 상인들이 명에서 상업 활동을 할 수 있는 활로를 마련해주었기 때문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Oirads in the fifteen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tribute trade(朝貢) and border market(互市). The Ming dynasty began to trade with the Oirads from the west Mongolian plains and the Uriyangqai from the Liaodong region to hold Northern Yuan in check. The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Oirads, in particular, expanded in terms of scale and diversity for a half-century until the outbreak of the Tumu(土木堡) Crisis. In 1408, the Oirads officially became a tributary state of the Ming dynasty and began trading horses and silk goods. Togon, who later became the leader of the Oirads, realized that the goods from the Ming dynasty served as an important material basis for the Oirad leadership and actively promoted the tributary trade with the Ming dynasty. The size of the envoys and the number of gifts increased after Togon drove East Mongolia out and took complete control of the plains, and the gifts were diversified to include horses and camels, and various types of furs. The economic exchange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Oirads took place at the Huitongguan(會同館) as a part of the tributary trade. Through the Huitongguan trade, the envoys purchased daily necessities from China using the luxury goods they received from the Ming dynasty. The Ming dynasty and the Oirads also traded horses in occasional horse markets from the beginning of the tributary trade, and the official horse market was opened in the Datong(大同) region in 1438. Trade between Mongolian nomads and the Han Chinese took place at this market, and it is noteworthy that goods prohibited from trade by the Ming dynasty, including military weapons and ironware, were also traded secretly. Tributary trade between the Oirads and the Ming dynasty during the reign of Essen expanded in terms of the number of envoys and the scale of tributary gifts, which placed a considerable burden on the Ming dynasty. Behind the expansion of tributary trade during Essen’s reign was that Essen was threatened by the growing influence of Tokto-Buka, the Khan of the Oirads. Esen needed to send tributes to the Ming dynasty to reinforce his political and economic position. The coalition between Essen and the Muslim merchants was another factor that led to the expansion of tributary trade during the reign of Essen. A considerable number of Muslim merchants were included in the envoys, as the Oirads gained political dominance over Hami and their influence on Tarim Basin increased, which enabled the Oirads to provide the Muslim merchants in the Central Asian region, including Hami, to conduct commercial activities in Ming China.

목차

1. 머리말
2. 明 전기 明·오이라트 朝貢 무역
3. 明·오이라트 간 互市의 전개
4. 오이라트의 哈密 지역 지배와 對明 무역에서 무슬림 상인의 활약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Cho, Won). (2021).明·오이라트 通貢·互市의 양상과 성격. 몽골학, (67), 155-182

MLA

조원(Cho, Won). "明·오이라트 通貢·互市의 양상과 성격." 몽골학, .67(2021): 155-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