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백탑 초층 탑신 鬼箭을 든 신장상 연구

이용수 32

영문명
A study of the guardian holding two ghost arrows from the first story of the Qingzhou White Pagoda
발행기관
한국몽골학회
저자명
성서영(Sung, Suhyoung)
간행물 정보
『몽골학』제67호, 235~27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주백탑은 요 흥종의 생모 장성황태후가 발원한 석가불사리탑이다. 요나라 불교문화가 최고 정점에 이르렀을 때 건립된 불탑으로, 황실 발원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불탑 탑신에는 각종 대형 부조상이 배치되었다. 그 중에서도 탑신 56존 신장상은 전체 수량도 많고, 표면적 비중도 큰 매우 중요한 부조상이다. 그러나 전체적인 외형 특징이 당·오대의 신장상과 크게 다르지 않아 그 연구 가치를 주목받지 못했으며, 단독으로 연구된 바 없다. 불탑에 이러한 많은 수의 신장상이 배치되고, 그 중에서 단 한구만 두 개의 귀전을 든 예는 경주백탑이 유일하다. 필자는 신장상의 수량이 많고, 두개의 귀전을 든 신장상의 출현은 요나라의 독창성과 특수성이 반영된 특징이라고 보았다. 그리하여 본문에서는 56존이 배치된 구체적인 이유와 두개의 귀전을 든 신장상의 도상 특징 및 의미를 분석하였다. 먼저, 필자는 불탑이 건립된 경위와 실제 출토된 유물 분석을 통해 당시에 매 층마다 사리와 열반상을 안치하였음을 알아냈다. 또한 이것이 불탑에 56존의 신장상이 배치된 것은 결정적 이유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좁은 의미의 56존 신장상은 매층 탑심실에 안치된 사리와 열반상을 수호하는 호법신장상이다. 또한 나머지 탑신 4면에는 배치된 부조상과 마찬가지로 호국의 의미도 담겨 있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56존 신장상은 경전의 교리에 합치하는 호법호국의 수문장을 표현하고 있다. 경주백탑 탑신 56존 신장상 중에서 초층 탑신 남면 좌측의 존상만 두개의 귀전과 활을 들고 있다. 귀전은 화살촉에 명적이 달린 화살이다. 요대에는 화살을 쏠 때 귀신과 같은 소리가 난다 하여 요대에는 ‘귀전’이라 불렀다. 귀전은 요 이전의 북방민족들이 전쟁 혹은 수렵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당·오대에는 사천왕의 지물로도 표현되었다. 요 경주백탑에서 귀전이 신장상의 주요 지물로 사용된 것은 요 황실의 고유 제의 “사귀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요 황실 발원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3작품, 즉 조양북탑 출토 은편<석가모니열반도>, 경주백탑 초층 탑신 남면 좌측 신장상 그리고 응현목탑 1층 내조의 북문 우측 벽화에서 귀전을 든 신장상의 위치가 모두 다르다. 필자는 이것은 요 황실에서 최초 실행한 사귀의의 방향이 목엽산을 향했던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즉 상술한 3 작품에서 귀전을 든 신장상은 실제 목엽산을 바라보거나 혹은 귀전이 향하는 방향이 아닌가 한다. 절묘하게도 현재 학계에서 제기된 여러 목엽산 위치가 모두 상술한 신장상의 시선과 귀전이 가르치는 방향의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경주백탑 56존 신장상은 단순히 단순한 호법 신장상에 머무르지 않고, 요 거란의 민족성과 정체성을 대표하는 존상으로 격상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영문 초록

Qing-zhou White Pagoda was called the Shakyamuni Śarīra Pagoda, where the Empress Dowager Jang-sheng, the mother of Emperor Xing Zong, initiated this project. Built when the Buddhist culture of the Liao Dynasty reached its peak, various large relief statues were placed on the body of pagoda, which fits the reputation of the Liao imperial family. Among these works, the 56 Guardians found on the body of pagoda constitute very important relief statues with a large total number and extending across a large surface area. However, their overall appearance is not much different than the Guardians images of Tang and Five dynasties. As such, these reliefs have not been noted in the research and have yet to be extensively studied. Qing-zhou White Pagoda is the only example of a site with such a large number of large Guardian statues placed on the pagoda and only one of them holds two ghost arrows. I argue that the large number of Guardian statues and the appearance of a Guardian statue with two ghost arrows are characteristics that reflect the originality and specificity of the Liao Dynasty’s Buddhist culture. Thus, I analyze the specific reasons behind the arrangement of the 56 Guardian statu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Guardian holding two ghost arrows. Through an analysis of the background of the pagoda s construction and the actual excavated relics, I found that sarira and nirvana statues were placed on each floor. I confirmed that this was the decisive reason for the placement of 56 Guardian statues on the body of this pagoda. In other words, in a narrow sense, the 56 Guardian statues were tasked with protecting the sarira and nirvana placed on every story of the pagoda. In addition, they also carry a meaning in which they are protecting the country, much like the relief statues placed on the other sides of the pagoda. Ultimately, the 56 Guardian statues function as gatekeepers, protecting the dharma and the countr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doctrine of the scriptures. Among the 56 Guardian statues, only one Guardian statue,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southern face of the first story, holds two ghost arrows and a bow. A ghost arrow is an arrow with a ming-di on its head. Called ‘Gui-jian’ during Liao dynasty, the origins of the name are obscure, but it made a ghost-like sound when shot from a bow. ‘Gui-jian’ was already used by northern peoples as a tool for war and hunting, and during the Tang and Five Dynasties period, it also appeared as an object that the Four Heavenly Kings hold. The use of ‘Gui-jian’ as a major feature for the Guardian in the Qing-Zhou White Pagoda is closely related to the unique imperial ritual of “shooting the ghost arrow” in the Liao dynasty. In particular, each placement of holding ghost arrow’s Guardian is expressed differently in three works directly related to the Liao imperial family: the silver plate excavated from the Chaoyang North Pagoda, the left-hand Guardian on the first story of Qing-zhou White Pagoda, and the right-hand painting on the north gate of the Ying-xian Wood Pagoda. I interpret this is position as related the direction toward Mt. Mu-ye, evoking the scene when the first emperor Yelu Abaoji held the ritual of ‘shooting the ghost arrow’. In other words, in the above-described three works, it seems that the Guardian statue holding the ghost arrows is actually looking or shooting towards Mt. Mu-ye. Several hypotheses have been proposed regarding the location of Mt.Mu-ye, all of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each Guardian statue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ir ghost arrow points. As described above, the 56 Guardian statues of the Qingzhou White pagoda are of great significance not only because the Guardians protect the dharma and the country on both sides of the pagoda, but because the statues were fashioned to represent the ethnicity and identity of Liao-Qidan.

목차

1. 머리말
2. 경주백탑의 건립과 56존 신장상
3. 초층 탑신 귀전을 든 신장상과 목엽산의 위치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서영(Sung, Suhyoung). (2021).경주백탑 초층 탑신 鬼箭을 든 신장상 연구. 몽골학, (67), 235-274

MLA

성서영(Sung, Suhyoung). "경주백탑 초층 탑신 鬼箭을 든 신장상 연구." 몽골학, .67(2021): 235-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